[사회] 중대본 "주민등록증 모바일 인증서비스 복구"
-
7회 연결
본문

서울 용산구 남영동주민센터에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뉴스1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행정정보시스템이 점차 복구되고 있는 가운데,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가 정상화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6일 “국민 생활과 밀접한 1등급 시스템인 주민등록증 모바일 본인 인증서비스가 지난 13일 복구돼 관공서 등에서 다시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도와 연관성이 높은 시스템부터 복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관계기관과 복구 현황을 공유하면서 업무 정상화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낮 12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중 325개(45.8%)가 복구 완료됐으며, 384개 시스템이 여전히 복구 작업 중이다.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1개(77.5%), 2등급은 68개 중 39개가 각각 복구돼 운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17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내주 초까지 복구를 완료할 예정이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국민 생명과 안전에 밀접한 시스템 중 등급이 낮은 경우에는 관계 부처와 협의해 등급 조정을 검토하겠다”며 “현장의 불편 사항을 세심히 점검하고 신속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재배치해야 하는 시스템은 추가 장비 도입과 스토리지 분진 제거 등을 거쳐 데이터 복구를 추진 중이다. 미복구된 384개 시스템 중 288개는 이달 말까지, 76개는 11월 20일까지 대전센터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나머지 20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한다.
중대본은 복지부, 소방청 등 5개 기관과 협의하며 이전 일정을 조율하고 있으며, 17일 국정자원 대구센터에서 협의회를 열어 안정적인 이전 방안을 논의한다.
정부는 이번 전산망 마비 사태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가동 중이다.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 산하에 정부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를 구성해 복구 계획과 민간 클라우드 활용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며 “국가 디지털 인프라의 재설계를 위한 논의를 주기적으로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