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중 무역갈등에 십자포화 맞는 세계…각국 새우등 터지는 중

본문

bt2dce0e44662c35a2153ed202446a92dd.jpg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오션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방명록에 서명한 후 박수를 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십자포화가 세계 각국에 쏟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만남을 앞두고 협상 주도권을 높이기 위해 서로를 몰아붙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을 비롯한 교역 상대국이 애꿎은 ‘희생양’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btc9eefffc849edc635b86307c6edf41a6.jpg

지난 2021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의 한 매장에서 직원이 판매용 주방 가구를 옮기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중이 상대국을 겨냥해 내놓는 각종 관세와 제재는 세계 경제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은 이날부터 수입 가공 목재에 10%, 소파 등 수입 가구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해당 조치를 “가구 산업을 중국 등에 빼앗긴 노스캐롤라이나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에 목재를 대량 수출하는 캐나다와 가구가 대미 수출의 10%를 차지하는 베트남이 더 큰 타격을 입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중국도 지난 9일 미국의 취약 분야인 희토류 통제를 강화했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 중국산 희토류를 0.1%라도 사용해 영구자석 등을 제조할 경우 수출 허가를 받도록 했다. 희토류 채굴 및 제련, 자석 제조, 2차 자원 재활용 기술을 활용해도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음 달 8일부터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인조 다이아몬드 수출도 통제한다.

bt750d16c9fddc55974ea3e6229b080923.jpg

지난 4월 벨기에 헨트에 있는 볼보의 자동차 제조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제조 차량을 살펴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하지만 유럽이 더 반발 중이다. 마로스 세프코비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무역 담당 부위원장은 14일 “희토류와 영구 자석은 모든 디지털 기기의 핵심 요소”라며 “중국이 유럽 기업과 산업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로베르토 바바소리 이탈리아 자동차산업협회 회장도 “희토류 고갈로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력이 취약해졌다”고 말했다.

미·중 양국이 이날부터 상대 선박에 부과한 입항 수수료도 다른 나라로 불똥이 튈 전망이다. 양국은 상대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에 각각 순t(Net ton)당 50달러(약 7만원), 400위안(약 8만원)의 입항 수수료를 매기고 있다.

bt868f28364da073b7cc2e2e7f8fc76111.jpg

지난 8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 필리조선소에 미국 해양청 발주 국가안보 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가 정박해 있다. 뉴시스

문제는 이 조치가 양국에서 제조된 선박을 가진 ‘비(非)미·중’ 해운사나, 미·중이 주문한 배를 제조한 타국 업체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 등이 주문한 대형 원유 수송선을 대부분 건조하는 한국·일본 업체 타격이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NYT는 “중국은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이 미국의 조선업 부흥을 지원하고 도왔다는 이유로 제재를 가했다”며 미·중 갈등의 대표적 피해 사례로 한국을 꼽았다.

EU의 50% 철강 보복관세 조치도 나비효과를 내고 있다. 미국 관세 위협, 중국산 저가 철강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지만 정작 EU 철강 수출 비중이 80%나 되는 영국의 피해가 크다고 NYT는 전했다. EU의 해외 철강 수출 시장 비중이 2위인 한국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각국의 ‘새우등 터지기’ 혼란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정상회담 전에 휴전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며 “조금만 긴장이 높아져도 지난 4월에 준하는 금수조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고 봤다.

bt459bb141430a8dcc10c0354ca59d9685.jpg

지난 3월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 있는 중국 전기차 업체 BYD의 매장 앞을 한 여성이 걸어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에 각국은 미·중 양국 중 하나를 택하는 ‘편 가르기’를 강요받고 있다. 멕시코는 트럼프 행정부 압박에 따라 최근 중국산 차량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네덜란드도 최근 자국에 본사를 둔 중국계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를 인수한 뒤 중국인 최고경영자(CEO) 축출에 나섰는데, 배경엔 미국 정부의 강력한 요구가 있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전했다. 반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한다며 미국이 50%의 관세를 부과하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 8월 7년 만에 중국을 방문하는 등 친중 행보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 bt5c960754a2a3f58bcb569d0b1c234177.jpg

    희토류 이어 '마스가' 한화 때린 中…"내주 4중전회 겨냥 각본"

  • 중국, 한화 제재…‘마스가’ 때렸다

  • bt3a4c5b00594437f309542c077368b17d.jpg

    전쟁 멈추자 학살 시작됐다…멀고도 험난한 가자지구 평화

  • bt23fe07bb0c94f75ed8b588dad412d25c.jpg

    대만 최대 조폭 죽련방 비밀…그 뒤엔 中 공산당 있었다, 무슨 일

  • bt7ed5af4347b73c8faf1e1936b9311299.jpg

    트럼프, 이집트서 ‘가자 휴전’ 자랑…유럽·중동 정상 등 20國 참석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