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출 절벽 커지나…규제 전산 반영에 은행들 비대면 접수 중단

본문

은행들이 비대면 대출 접수를 줄줄이 중단했다. ‘10·15 부동산 대책’에서 발표한 규제를 전산에 반영하기 위해 대출 신청을 일단 막았다. 정부의 ‘돈줄(가계대출)’ 죄기 강도가 세지는 가운데, 연말 돈 빌리기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btde1d96e98583c226e212865aea16cefa.jpg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 첫날인 16일 서울 시내 한 은행에 개인대출 상담을 위한 번호표 기계가 설치돼 있다. 뉴스1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중에서 신한·하나은행이 이날 자정부터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신규 신청과 주담대 갈아타기 접수를 중단했다. 다만 영업점 창구를 통한 대면 수기 접수는 정상적으로 진행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 규제가 광범위해서 언제까지 전산에 반영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비대면 접수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했다. 비대면으로만 주담대 접수를 받는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케이뱅크)도 같은 이유로 주담대 신청을 일시 중단했다. 앞서 은행들은 ‘6·27 대출 규제’와 ‘9·7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에도 전산 시스템 반영을 이유로 비대면 대출을 한시적으로 막았다.

대출 접수가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지만, 대출 신청이 까다로워지면서 돈 빌리기가 당분간 더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일부 은행은 올해 배정받은 대출 총량을 이미 다 채운 상황이라, 전산 작업을 이유로 비대면 접수 중단 기간을 의도적으로 길게 할 가능성도 있다.

대출 ‘보릿고개’는 연말을 넘어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 정부가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해 은행의 주담대 위험가중치(RW)를 기존보다 5%포인트 높이기로 하면서다. 현재 기준대로면 내년엔 신규 주담대가 올해 대비 약 27조원 감소할 수 있다. 여기에 10·15 부동산 대책에서 발표한 규제지역 확대로 담보인정비율(LTV)이 40%로 줄었고, 15억원이 넘는 수도권 고가 주택의 한도도 추가로 더 감소했다.

가계대출은 새로운 규제와 상관없이 이미 크게 위축한 상황이다.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담대가 한도가 6억원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모든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올해 3월(7000억원) 이후 월간 증가 폭으로는 가장 작다. 주담대는 이 기간 3조6000억원 늘었는데, 이 역시 올해 3월(3조7000억원)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