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노년층 10명 중 7명 "외롭다"…인천시, 내년 '외로…

본문

btd0cb995a61882aa183e50a6d2ef32c1e.jpg

인천시가 추진하는 1인 가구 지원 사업 중 하나인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시민들의 모습. 사진 인천시

인천시가 내년부터 1인 가구 증가세와 사회적 고립, 외로움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 조직을 운영한다.

인천시는 최근 ‘외로움국’ 등 신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16일 밝혔다. 외로움국은 시 계획대로 준비 작업이 완료되면 내년 1월부터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고립·은둔·고독사 등 외로움과 관련된 정책과 지역 통합돌봄 사업 내실화 등을 담당한다. 조례안은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오는 12월 시의회 심의를 받을 예정이다.

인천시민의 30%가 1인 가구

인천시가 외로움국을 신설하는 이유는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인한 ‘외로움’ 확산 때문이다. 인천시 1인 가구는 2020년 32만4841가구, 2021년 35만5657가구, 2022년 37만6392가구, 2023년 39만5278가구, 지난해 41만1532가구 등 매년 늘고 있다. 2024년 11월 기준 인천시 전체 가구(126만8133가구)의 32.5%에 달한다. 인천시는 이들 중 2만9000여명 정도가 사회적 관계 단절과 심리·물리적 고립 등으로 6개월 이상 집에만 머무르고 사회활동을 하지 않는 고립·은둔 청년(18~34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천시 전체 청년의 5% 수준이다.

인천연구원이 인천지역 노년층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6080 실태조사’에서도 708명(70.8%)이 ‘외롭다’고 답하는 등, 세대 구분 없이 많은 시민들이 외로움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보건복지부의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과 복지·의료비용 증가 등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은 연간 7조원으로 추산된다.

bt40213f134579671f2f52e86a9e45a2d5.jpg

신병철 인천시 보건복지국장이 지난 3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외로움 정책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 인천시

외로움 TF 이어 외로움국 신설로 정책 확산  

인천시는 외로움국 신설에 앞서 지난달 10일부터 ‘외로움 TF’을 운영하고 있다. TF에선 부서별로 흩어져 있던 외로움 관련 사업을 통합·재편하고 신규 사업을 발굴하는 등 정책의 기틀을 다지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외로움국은 외로움 관련 사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사업 중 하나로 거론되는 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되는 ‘외로움 지원 플랫폼’, 가칭 ‘아이 링크 컴퍼니(i Link Company)’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대상자를 발굴하고, 개인별 상담부터 기업탐방, 일자리 연계 등으로 일상 회복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문화·예술·스포츠 등 프로그램 참여 유도와 지역사회 소통공간 조성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례를 관리하는 등 고립·은둔으로의 회귀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1인 가구 행복 동행 사업’도 기존 3개 군·구에서 6개 지역으로 확장하고, 자살 고위험군을 선별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외로움 제로(Zero), 생명을 온(On)’ 사업도 추진한다. 이에 더해 생명존중 안심마을도 현재 42개소에서 78개소로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생명 지킴이 분야도 7개에서 8개로 넓혀 자살예방사업을 전방위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인천시에 앞서 서울시도 외로움 문제 극복을 위해 2023년 복지실 산하에 ‘돌봄고독정책관(3급)’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외로움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안전과 지속가능성에 직결된 중요한 과제”라며 “외로움국 신설 등으로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시민 모두가 외롭지 않게 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