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번역기 효율 떨어져 한국인 납치로 눈 돌려"…지옥이 된 여행

본문

btbe28055bcc61730dc22cf69245cfa66e.jpg

16일(현지시간) 캄보디아과 베트남 국경 지역 쯔러이톰에 위치한 온라인 스캠 범죄단지.뉴스1

친한 동생 지인이 브로커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 한국에 브로커가 이렇게 많다니…

대구에서 프랜차이즈 사업을 했던 임찬우(40대·가명)씨는 15년 동안 알고 지낸 동생인 A(30·배달기사)씨로부터 지난 1월 함께 캄보디아 여행을 가자는 제안을 받았다. 마침 사업 휴식기였다. “카지노도 있고, 휴식이 될 거다”란 동생의 제안을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이 여행이 63일 동안의 범죄단지 감금 생활로 이어질 줄은 몰랐다.

A씨는 여행 직전 “초등학교 동창”이라며 동행할 친구를 소개했다. 다소 찜찜하긴 했지만, 큰 의심은 하지 못한 채 비행기에 올랐다. 베트남 호찌민 공항에 내려 캄보디아로 이동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호찌민에 도착하자마자 A씨 친구가 사라졌다. 대신 중국인 1명과 한국인 1명이 탄 검은색 승합차가 두 사람을 맞이했다. 그들은 “캄보디아 카지노로 이동한다”며 속였다. 알고 보니 동행한 A씨 친구도 이들과 연계된 캄보디아 보이스피싱 조직의 ‘한국인 브로커’였다.

조직원들은 베트남 국경을 육로로 통과했고, 16일 정부가 ‘여행 금지’ 지역으로 지정한 캄보디아 캄폿주 바벳(Bavet)의 범죄 단지(웬치·园区)로 임씨 일행을 끌고 갔다. 겉보기엔 평범한 4층짜리 연립주택이었지만 내부는 1~3층까지 숙소, 4층은 보이스피싱 사무실로 쓰였고, 비슷한 건물이 17동이나 있었다. 임씨는 이곳에 도착하자마자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겼다.

범죄 조직이 시킨 일은 ‘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이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텔레그램 등 메신저로 한국인들에게 접근해 조직이 만든 가짜 투자 사이트로 유도하는 게 주 업무였다. 임씨는 “사무실에 앉혀 놓고 종일 여성인 척하며 채팅만 하게 시켰다”고 했다. 약 300만원의 월급도 지급했다. 달러·계좌 이체·비트코인 중 선택해 받을 수 있었다.

임씨는 이렇게 63일 동안 감금된 채 강제로 범죄 행위에 동원됐다. 그사이 잡혀 오는 한국인들이 점차 늘어났다고 한다. 그는 “함께 일하던 한국인만 35명이었다. 17동 전체로 보면 타국 사람 포함 적어도 2000명은 있는 것 같았다. 작년까지만 해도 중국인이 했는데, 일일이 번역기를 돌려야 해 작업 효율 떨어지자 한국인을 직접 납치해 시키는 구조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는 한국인을 써야 한국인을 더 잘 속이니까”라고 설명했다.

bt6716ad3af1152892130980076a718064.jpg

임찬우(가명)씨가 바벳 범죄단지에서 탈출 후 정부 측에 제공한 자료. 사진 임찬우씨

현지 경찰과 범죄 조직이 결탁했다는 걸 알아챈 임씨는 수차례 자력 탈출을 시도했다. 임씨는 “대사관에 전화했더니 ‘직접 경찰에 신고하라’고만 하더라. 하지만 신고가 발각되면 바로 죽는다. 조직과 경찰은 다 연결돼 있다”고 주장했다. 어렵게 캄보디아 한인회와 연락이 닿아 “현지인만 호출 가능한 앱을 써야 안 들킨다”는 정보를 얻었다. 그는 순응하는 척하며 조직의 신뢰를 얻었고, 외출 기회를 받은 날 미리 부른 프놈펜 행 택시에 몸을 실어 겨우 탈출에 성공했다.

귀국 후 임씨는 수사 기관 등의 요청으로 범죄 단지 관련 자료를 전달했지만, 동시에 사기 가담 혐의로 경찰 조사도 받아야 했다. 그는 “돈을 받으면 한국 와서 잡혀갈 수도 있다는 생각에 받지 않았다. 주변 한국인들한테도 받지 말라고 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함께 감금됐던 A씨는 관련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고 한다. 임씨는 “자발적으로 간 사람도 많지만, 속아서 간 사람들도 많다”며 “몇달이 흘렀지만 지금도 ‘감금 노동 캠프’에서 지낸 두 달을 잊을 수가 없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