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오세훈 잡기 위해 '국정 투톱' 차출? 與 김민석·강훈식 딜레마
-
7회 연결
본문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이 지난달 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 서울공관에서 열린 제3차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민석 국무총리. 장진영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전국 단위 선거인 6·3 지방선거가 22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승패의 가늠자라 할 수 있는 서울시장 선거 후보군을 둘러싼 여권 내 하마평이 무성하다.
국민의힘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항마를 놓고 더불어민주당에선 김영배·박주민·박홍근·서영교·전현희 의원과 박용진·홍익표 전 의원 등 전·현직 서울 지역 의원들과 정원오 성동구청장의 이름이 자천타천으로 오르내린다. 내년 지방선거 결과를 묻는 한국갤럽 전화면접 여론조사(14~16일)에서 서울 지역은 ‘여당 후보 다수 당선’(39%)과 ‘야당 후보 다수 당선’(38%)이 팽팽해 접전지로 꼽힌다. 이 때문에 여권 일각에선 “이재명 정부의 첫 선거인 만큼, 지역구 국회의원이 아니라 이재명 정부의 상징성을 가진 인물을 내보내야 한다”는 차출론도 나온다.
대표적인 차출 거론 인사는 김민석 국무총리와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다. 이미 이들을 오 시장과 맞붙인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13~14일 서울시민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시장 선거 양자 대결 조사(무선 ARS 방식)에서 두 사람은 오 시장과 각각 박빙을 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총리(44.2%)는 오차 범위(±3.1%포인트) 내에서 오 시장(40.6%)을 앞서는 결과였다. 강 실장(40.6%)은 오차범위 내에서 오 시장(42.3%)에 뒤지는 결과였다. 강 실장은 충남 아산을 3선 의원 출신이지만, 서울 시민 대상 여론조사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한 것이다.

차준홍 기자
오 시장의 맞상대로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나올 경우엔 오 시장 43.2%, 조 위원장 41.7%로 조사됐다. 민주당의 한 수도권 의원은 “집권 초반 선거에서 국무총리나 비서실장 같은 인물이 가진 경쟁력이 입증된 것”이라고 했다.
문제는 대선 1년 뒤 치러지는 선거에 국무총리와 비서실장 같은 ‘국정 투톱’을 차출하는 게 가능하냐는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전국 단위 선거의 승패도 중요하지만, 정부 차원에선 국정이 우선”이라며 “김 총리와 강 실장에 대한 이재명 대통령의 신뢰가 워낙 깊은 데다 두 사람이 떠나면 대안 마련도 쉽지 않은 딜레마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가 14일 오전 서울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5회 국무회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실제 김 총리가 이끄는 국무총리실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실무 준비부터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른 신규 부동산 감독 기구 설립까지 막중한 업무를 맡고 있다. 내년 10월부터 이뤄지는 검찰청 폐지 및 수사·기소 분리에 따른 구체적인 대안 마련도 총리실 산하 검찰개혁추진단 몫이다.
지난 14일 국무회의에선 김 총리가 부처 장관을 향해 현장 방문을 독려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이 대통령이 “새벽 총리 얘기 한번 해달라”고 하자, 김 총리는 “인력 시장도 가고 여기저기 간다”고 답했다. 이에 이 대통령이 “장관님들도 현장에 많이 가시면 좋겠다”고 하자, 김 총리는 “국정과제와 연관된 일들을 서류로만 하지 말고 직접 설명하는 것이 좋다”며 “지금 관심 갖는 것들과 관련해 지방을 좀 많이 다니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오른쪽)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통령실에선 강 실장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이 대통령은 17일 강 실장을 ‘K-방산 4대 강국’ 달성을 위한 전략경제협력 대통령 특사로 임명했다. 이달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3차례 대통령 특사로 방산 협력 대상 국가를 방문한다. 앞서 강 실장은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비서실장인 수지 와일스와 핫라인 구축을 통해 외교 무대에서 이목을 끌었다.
강 실장은 16일 자신이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선 “일부 프랜차이즈 치킨 업체가 가격을 동결하는 척하며 음식 중량을 줄이거나 저렴한 부위로 원재료를 변경하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행태를 보인다”며 민생 이슈를 직접 챙겼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