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부 무죄’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사법리스크 덜고 AI·신사업 드라이브 [팩플]

본문

카카오 그룹이 수년간 지고 온 사법리스크 부담을 상당 부분 덜어냈다. 법원이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혐의로 기소된 김범수 창업자에 대해 1심에서 전부 무죄를 선고하면서다. 인공지능(AI)·스테이블코인 등 카카오의 신사업이 탄력 받을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무슨 일이야

서울남부지방법원 형사합의15부(부장 양환승)는 21일 오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시세조종 등)로 기소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와 카카오 법인, 배재현·홍은택·김성수·강호중 등 카카오 관계자에 대해 전부 무죄 판결을 내렸다. 검찰은 김 창업자 등이 2023년 2월 카카오가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주가를 공개매수가보다 높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경쟁사인 하이브를 방해했다며 기소했다. 하지만 이날 재판부는 “주관적인 의도 면에서 카카오에 시세조종 목적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bt05540e1dbfd54b6928f4ffcf64bfac36.jpg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21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자본시장법 위반 1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후 심경을 밝히고 있다. 뉴스1

이게 왜 중요해

3년 가까이 이어진 사법리스크로 카카오는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신사업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미래 먹거리 마련보다 당장 그룹 전체가 흔들리는 위기 수습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카카오 브레인·엔터프라이즈 등 AI 관련 자회사를 세워 대응했지만, 결과물은 좋지 않았다. 수차례 AI 담당 조직을 구조조정하면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8월엔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선발 프로젝트에서까지 탈락했다. 카카오는 이날 “2년 8개월간 이어진 수사와 재판으로 카카오 그룹은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급격한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기 힘들었던 점은 뼈아프다”는 입장을 밝혔다.

btc650238e5f1a256bb39abaa9a62ad081.jpg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으로 구속 수감됐던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지난해 10월 31일 오후 서울 구로구 서울남부구치소에서 보석으로 석방돼 나오고 있다. 뉴스1

AI·스테이블코인 탄력받나

업계에선 사법리스크 부담이 덜어지면서 AI, 스테이블코인 등 그간 카카오가 추진해 온 신사업에 탄력이 붙을지 주시하고 있다. 카카오는 최근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카카오톡 채팅 탭에 챗GPT를 탑재하고, 카카오톡 온디바이스(내장) AI 제품인 ‘카나나 인 카카오톡’ 등을 선보이는 등 대대적인 AI 서비스 확장 방향성을 공개했다.

bt5c49c2284871ce9fbe36cff416bfbe91.jpg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9월 23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이프(if) 카카오' 콘퍼런스에서 키노트 세션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카카오

지난 8월부터 그룹 차원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힘을 싣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사업도 탄력 받을 수 있다. 이날 재판에서 카카오 법인에 유죄가 선고됐다면, 금융회사 대주주 적격성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경영 일선 복귀할까

시장 반응은 호의적이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카카오는 전날보다 약 5.95% 오른 6만2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 내부에선 지난 3월 건강상 문제로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김범수 창업자의 복귀를 희망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익명을 원한 카카오 관계자는 “경쟁사인 네이버는 이해진 창업자가 경영에 복귀해 두나무 합병 등 굵직한 경영 현안을 속도감 있게 처리해나가고 있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선 창업자가 힘을 실어주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창업자는 현재 암 수술 등 건강상 제약이 있는 데다, 이 사건이 항소심·상고심까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어 당장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카카오 측은 “김 센터장은 현재 치료와 회복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중앙플러스 : 팩플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주소창에 링크를 복사해 붙여넣으세요.

3조 퍼붓고 5년 잃어버렸다…“카카오, 동아리 같은 회사” ①
카카오의 잃어버린 5년, AI로 반전을 만들 수 있을까. 위기란 말을 달고 살았던 카카오의 반전 승부수가 궁금하다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1114

“카톡 업뎃? 욕 먹을 각오했다” 10월에 터뜨릴 진짜 무기는
지난 23일 열린 연례 개발자 행사인 ‘이프(IF) 카카오’. 카카오는 그룹의 본체, 카카오톡에 AI를 전면 도입했다. 시장 반응은 아직까진 물음표다. AI보다 소셜미디어·광고 기능을 넣은 ‘친구탭’에만 비난이 폭주했고, 기존 ‘친구목록’을 친구탭 첫 화면으로 복원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카카오의 AI 서비스 기업 전환, 가능한 걸까. 무딘 칼로 여겨졌던 카카오의 AI는 명검으로 벼려질 수 있을까. 친구탭 논란에 가려진 카카오 AI의 실체와 본질을 핵심 관계자를 두루 만나 추적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0894

“팀장 가르칠 신입 구합니다” AI가 뒤바꾼 카카오 공채기준
판교에 불어닥친 ‘인공지능(AI) 바람’은 신입 개발직 구직자들에게 공포 그 자체. 똑똑한 AI 개발 툴이 초급 개발자 자리를 대체하면서다. 그럼에도 최근 카카오는 세자릿수 규모 신입사원 공개채용을 진행했고, 네이버를 비롯해 국내 게임사, 스타트업에서도 꿋꿋이 신입 개발자를 뽑으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각 기업 인사담당자들에게 들은 채용 꿀팁들을 담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9582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