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사상 최고가' 찍은 금값의 추락…하루 새 5% 급락, 무슨 일
-
15회 연결
본문

인도 북부 도시 찬디가르의 한 금세공점에서 전시된 금괴. 로이터=연합뉴스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오던 국제 금값이 하루 만에 5% 넘게 급락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기준 오후 1시 45분 기준 온스당 4115.26달러로 전장 대비 5.5% 하락했다. 이는 팬데믹 기간이던 2020년 8월 이후 하루 기준 최대 낙폭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금 선물 가격도 급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된 12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4109.1달러로 전장보다 5.7% 떨어졌다.
국제 금값은 올해 들어서만 약 60% 상승하며 랠리를 이어왔다. 전날에도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4381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그러나 단기간 급등에 따른 부담과 함께 미국 주요 기업들의 3분기 호실적이 투자심리를 되살리자 안전자산인 금을 팔고 위험자산으로 옮기는 움직임이 확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최대 금 매수국인 인도가 힌두교 최대 축제인 ‘디왈리’를 맞아 휴장하면서 거래 유동성이 줄어든 점도 하락세를 부추겼다고 분석했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의 짐 위코프 선임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 들어 개선된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가 안전자산 귀금속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은값도 동반 급락했다. 국제 은 현물 가격은 같은 시간 기준 전장 대비 7.6% 내린 온스당 48.49달러에 거래돼 낙폭이 금보다 컸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오는 24일 발표될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쏠리고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중단)으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됐지만 미 노동통계국은 당초 일정보다 9일 늦은 24일에 CPI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CPI 결과는 오는 28∼2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은 이자나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자산으로 통상 미국의 실질금리가 낮아질수록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