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I는 삶의 방식 바꾸는 거대한 힘”…민·관 리더 ‘AI 기본 사회’ 논의
-
6회 연결
본문
인공지능(AI) 관련 정부와 산업계 주요 리더들이 모여 AI가 바꿀 미래 사회를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JTBC는 22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AI 기본사회, 우리의 미래’를 주제로 ‘JTBC 내일포럼 2025’를 개최했다. 포럼에 참석한 정부의 AI 전략 주요 책임자들과 산업계 리더들은 AI가 가져올 미래와 국가 전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홍정도 중앙그룹 부회장은 “이제 AI는 하나의 기술이 아니다. 경제와 산업의 패러다임, 더 나아가 국가 전략과 비전, 그리고 결국은 우리의 삶의 방식까지 송두리째 바꾸는 거대한 힘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홍정도 중앙그룹 부회장이 2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JTBC주최 내일포럼 2025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이날 정부 관계자들은 ‘AI 기본 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의지를 드러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영상 축사를 통해 “AI는 우리 사회의 나아갈 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화두”라며 “정부는 국민 모두가 AI를 쉽게 활용하고 인공지능 발전으로 모든 국민의 삶의 수준이 개선되는 사회를 지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기본 사회란 기술이 주도하는 사회가 아니라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AI를 통해서 혜택을 누리는 사회를 뜻한다”며 AI를 바탕으로 한 미래 사회 설계의 중요성을 짚었다.

2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JTBC주최 내일포럼 2025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포럼의 오전 세션에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의 1차 관문을 통과한 5개 기업이 한자리에 모여 비전을 발표했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 김건수 NC AI 에이전틱 AI랩 실장, 권순일 업스테이지 부사장,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이기창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모델 이사 등이 각 사의 AI 전략과 미래상을 공개하며 ‘국가대표 AI’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예고했다. 전진배 JTBC 대표이사는 이들 기업에 대해 “국가 AI 인프라의 토대를 구축하고 AI 생태계를 확장함과 동시에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딥시크 등과 함께 항저우의 ‘6룡’이라 불리는 딥로보틱스의 ‘AI 로봇개’ 시연도 이어졌다. 스스로 계단을 오르며 연단에 올라간 로봇개는 공중제비를 도는가 하면, 두 다리로 물구나무 서기를 하는 등 다양한 연기를 선보였다. 청중 사이에선 ‘와’ 하는 소리가 터져나왔다. 수잔나 로 딥로보틱스 이사는 피지컬 AI가 산업계에 활용되는 사례를 소개하며 “최근 몇 년간 로봇 산업은 LLM(대형언어모델), 심층 강화 학습 등 AI 기술의 혁신으로 크게 발전했다”고 말했다. 오후 세션에는 인구·노동·의료 등 삶의 질을 높이는 AI의 역할 등에 대한 주제 토론이 이어졌다.

2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JTBC주최 내일포럼 2025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