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방미 김용범 "한미 협상 마지막 와있다…한두 쟁점 입장차 커"
-
15회 연결
본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왼쪽)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취재진과 대화하고 있다. 뉴스1
한ㆍ미 무역 협상 후속 합의를 위해 22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협상이 마지막까지 와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양국이 지난 몇 주간 매우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자세로 쟁점들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많은 주제들은 의견 접근이 돼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한두 가지 주제에 대해 입장차가 크다”며 “지난번(협상)엔 (미국 측과) 저녁도 같이 했고 4시간 이상 이야기한 셈인데 미국 측에서 좀 완강한 부분에 대해 본국에 가서 보고하고 다른 부처와도 이야기하고 다시 오겠다는 것을 우리가 시사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협상이라는 것이 중요 쟁점에 대해 각자 입장을 펴다 보면 잠정적으로 어느 정도 (합의)했던 부분까지 후퇴할 수도 있고 해서 조심스럽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많은 쟁점들에 대해 어느 정도 조율돼 있고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적인 주제에 대해 미국이 좀 더 진지하게 이해해 준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이 미국을 다시 찾은 것은 사흘 만이며, 함께 입국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틀 만이다.
김 실장은 3500억 달러(약 500조 원)에 달하는 한국의 대미(對美)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투자 이행을 트럼프 대통령 잔여 임기인 3년 6개월 이상으로 분할하자는 것에 미국과 교감을 이뤘느냐는 질문에 “개별 주제, 아이템에 대해 저희가 어떤 말도 한 적이 없다”면서 “우리가 반복적으로 이야기한 것은 한국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 이게 기준이고 다 연계된 문제라는 것이다. 또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줄 충격이 커서는 안 된다는 것 등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는데 그게 다 서로 연관된 문제”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한국은행이 달러를 투자하더라도 한국 외환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최저선이 150억∼200억 달러라고 한 데 대해선 “그런 것들은 우리 내부에서 실무적으로 나간 이야기들”이라며 “한국은행 분석도 있고, 기획재정부 분석도 있고, 미국도 나름대로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분석이 있어서 각자 분석들을 갖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전제는 관세 협상도 중요하고, 한ㆍ미 간 투자도 중요한데 대한민국 경제에 충격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며 “그래야 합의가 돼서 이행도 되는 것이다. 미국도 거기에 대해서는 이해를 할 것”이라고 했다.
김 실장은 이날 김 장관과 함께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을 만난 뒤 애틀랜타로 이동해 곧바로 귀국길에 오른다. 무박으로 미국과 막바지 협상을 벌인다는 의미다. 그는 백악관에 들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날 가능성이 있느냐는 물음에 “아니다. 오늘은 러트닉장관하고만 만난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