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러트닉 만난 김용범 "협상 일부 진전, 막바지 단계는 아니다"

본문

22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무역 합의 도출을 위한 협상을 진행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일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협상은) 막바지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bt0de091126a3caafb6e7ba57221f47eca.jpg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의 무역 협상을 마친 뒤 취재진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김 실장은 이날 오후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 워싱턴 상무부 청사에서 러트닉 장관과 협상을 벌인 뒤 기자들과 만나 “남아 있는 쟁점에 대해 얘기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고, 또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과의 협의 전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했던 김 실장은 이날 면담을 마친 뒤엔 “쟁점이 하나만 있는 건 아니고, 한두 개라고 한 건 아주 많지는 않다는 뜻”이라고 했다.

김 실장은 이어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왔느냐’는 질문에 “협상이라는 건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라고만 답했다.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31일 개막·경주) 전에 추가 대면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에 대해선 “다시 만나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필요하다면 화상(회의)으로 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APEC에 대해선 “중요한 계기”라고 강조했다.

bt8756061d7dd01fd06e7840204cf499de.jpg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의 무역 협상을 마친 뒤 취재진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김 실장과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과 한·미무역협상의 미해결 쟁점인 3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 방안과 관련, 현금 비율, 자금 공급 기간 등을 놓고 집중적인 협상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이 러트닉 장관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이후 6일만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3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