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광운대, 노원구 장애인 미술전 ‘나눔과 소통의 미학전’
-
9회 연결
본문

광운대에서 진행된 제18회 노원구 장애인 미술전 「나눔과 소통의 미학전」들을 학생들이 관람하고 있다.
광운대학교(총장 윤도영)는 지난 2025년 10월 13일(월) 80주년 기념관에서 제18회 노원구 장애인 미술전 「나눔과 소통의 미학전」의 개막식을 진행했다. 이번 미술전은 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주관으로, 노원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다운복지관, 서울시립뇌성마비복지관, 서울시립상이군경복지관, (사)서울장애인부모연대 노원지회 등 지역 장애인복지기관과 협력해 마련됐다.
「나눔과 소통의 미학전」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나눔과 소통을 실현하기 위해 예술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베리어프리 전시로 기획됐다. 전시 기술 개발에는 광운대 인공지능융합대학 소속 소프트웨어 봉사단 '소원'이 참여했으며, 기술지원은 카카오페이의 ‘디지털교육격차해소를 위한 IT교육지원’ 발전기금으로 운영됐다.
이날 열린 개막식에는 광운대학교 박병준 인공지능융합대학 학장을 비롯해 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신연화 관장, 한국장애인미술협회 이순화 부회장, 서울특별시의회 오금란 의원, 서울특별시의회 서준오 의원,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정종화 교수, 광운대학교 정보융합부 이상민 교수 등 다수의 내빈이 참석했다.
이번 전시의 기술 개발에는 광운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 학생들이 직접 참여해 ▲접근성 키오스크 ▲메타버스 기반 가상 전시관 ▲오디오·로봇 도슨트 등 다양한 관람객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장애 유무에 관계없이 전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접근성 키오스크는 일반 모드, 고대비 모드, 휠체어 사용자 모드 등 다양한 화면 설정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저시력자, 청각장애인, 휠체어 이용자 등 관람객의 특성에 맞춰 인터페이스가 자동으로 전환된다. 메타버스 기반 가상 전시관은 현장 관람이 어려운 이들을 위해 원격으로 전시를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오디오·로봇 도슨트는 AI 기반 음성 안내 기능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작품 설명과 전시 동선을 보다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개발됐다.
또한 고려대학교의 체인지메이커스 ‘이야기 팀'은 시각장애인의 문화 접근성 향상을 위해 손끝으로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레이저 양각 기법을 활용한 촉각 작품을 제작했다. 이와 함께 점자 도록과 전시 편의시설 정보를 담은 촉지도를 함께 제공해 시각장애인의 관람 편의를 높였다.
광운대학교 박병준 인공지능융합대학 학장은 “이번 미술전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전시 기술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직접 체감할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연대 속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도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