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북한 핵 보유국이냐" 묻자, 트럼프 "그렇다고 생각한다…

본문

bt88da31623a5ea03f16012e6d95f76779.jpg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들과 만나고 있다. 연합뉴스.

방한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핵보유국(nuclear power)'이라 지칭해 국제 사회에 파장이 예상된다.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서다.

2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 순방길을 앞두고 에어포스원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은 미국과 대화를 위해서는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부분에도 열려있느냐'는 질문에 "저는 그들이 일종의 핵 보유국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언급하며 '뉴클리어 파워'라는 표현을 쓴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월 20일 취임식 당일에도 김 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라고 지칭했고, 이후에도 같은 표현을 써왔다.

다만 당시 백악관은 이 같은 발언에 대해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했다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언급한 것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그러나 이날 발언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라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미국은 수십 년간 북한을 공식적인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비핵화 원칙'을 지켜왔는데, 이런 입장과 배치되는 답변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저는 그들이 얼마나 많은 핵무기를 보유했는지 알고 있고, 그들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있다. 김정은과도 매우 좋은 관계를 가졌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들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한다면, 글쎄, 그들은 많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하겠다"고 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 의지가 있다면서도 비핵화 논의를 배제할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북한이 핵보유국임을 인정하면 협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방한 기간에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DMZ(비무장지대)에서 김정은과 만날 계획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가 연락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다"며 "저는 100% 열려있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6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