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클래식으로 돌아온 ‘성악계 아이돌’ 테너 김민석…“건강한 발성, 내 평생 숙제”

본문

bte11d5c18313b82063b2d8f94f7243bb1.jpg

오는 29일 '노래의 날개 위에' 리사이틀 무대에 서는 테너 김민석. [제공 마포아트센터]

학교가 끝나면 시간 날 때마다 ‘오래방(오락실에 있는 노래방)’에 들러 마이크를 잡았다. 줄곧 록 밴드 ‘버즈’ 노래만 부르던 소년의 재능을 알아본 건 클래식 성악을 전공한 친형이었다. “대학도 가야 하니 레슨 한 번 받아보자”는 말에 어영부영 1년 정도 입시를 준비했고, 수도권의 한 대학에 합격했다.

재능은 그를 안주하게 두지 않았다. 노래를 공부할수록 갈증이 생겼다. 결국 2년 쯤 다니던 학교를 그만두고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에 들어갔다. 이후 중앙음악콩쿠르 우승(2018년), JTBC 팬텀싱어3 3위(2020년), 솔로 앨범 ‘그대 있음에’ 발매(2024년) 등을 거치며 본격 성악가의 길을 걷게 됐다. ‘클래식계의 아이돌’이란 별명으로 익숙한 테너 김민석(35)의 이야기다.

btdf19c7773acdafd01aa11e3befeffd5a.jpg

2025 M클래식 축제 공연별 포스터.

오는 29일 김민석은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리는 ‘로맨틱 리사이틀’ 무대에 선다. 마포문화재단이 준비한 성악가 독창회 시리즈 ‘노래의 날개 위에’의 첫 번째 무대다. 김민석을 시작으로 소프라노 박혜상(11월 5일), 소프라노 임선혜(11월 12일), 바리톤 박주성(12월 6일) 등이 배턴을 이어받는다.

지난 20일 공연장에서 만난 김민석은 “지난 6월 공연 이후 4개월 간 충분히 휴식하며 연습도 많이 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번 리사이틀에서 김민석은 작곡가 빈센초 벨리니, 프란체스코 파울로 토스티, 에르네스토 데 쿠르티스의 가곡 소품과 자코모 푸치니,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리아 등 14곡을 선보인다. 그의 팬들이라면 공연장에서 한 번 쯤 들어봤을 노래들이 많지만, 토스티의 ‘꿈(Sogno)’ 등 김민석이 “클래식을 시작하고선 한 번도 불러보지 못한 곡들”도 있다.

“요새 들어 레퍼토리 고민이 커졌어요. 고민이 많은 성격이라, 요즘엔 이미 불렀던 노래와 해야 하는 노래들을 리스트 업 해 놓고, 적당한 무대가 생기면 한둘 씩 추가하고 있어요. 혼자 선곡하면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한계가 있어서 3년 째 반주로 호흡을 맞춘 정호정 선생님과 상의를 많이 하는 편이에요.” 이화여자대학을 졸업한 피아니스트 정호정은 미국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수년간 오페라 코치로 일한 것을 비롯해 국립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등 유수의 단체에서 오페라 코치 및 피아니스트로 활동한, 김민석의 ‘천군만마’다.

bt97f1fa6ad4bcc9a81301606b47b08093.jpg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대극장). 로비 한쪽 벽면을 채운 34명의 객석 기부 명단. 왼쪽 하단에 ‘김민석’ 세 글자가 눈에 띄었다. 오는 29일 센터에서 열리는 테너 김민석의 ‘로맨틱 리사이틀’ 공연을 기념하기 위해 한 팬이 쾌척하며 붙여진 명패다. 센터는 2022년부터 기부금을 내면 객석(50만원), 로비(100만원)에 이름표를 부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최민지 기자

팬텀싱어 출연 이후 크로스오버 보컬 그룹 ‘레떼 아모르’ 멤버로 활동하던 김민석은 2023년 막 클래식 무대로 돌아왔을 때만 해도 오케스트라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큰 무대에 섰다. 그러나 2023년 10월 마포아트센터에서 처음으로 피아노 반주의 리사이틀을 선보인 이후부턴 비슷한 소규모 편성의 공연을 이어오고 있다. 김민석은 “지휘자 등과 호흡을 맞추는 게 어려웠고 간혹 반주가 아름답다 보니 음악을 듣다 지휘를 놓칠 뻔 한 적도 있었다”며 “당분간은 피아노와 단출하게 내 음악에 집중하는 편이 맞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신중한 성격인만큼 평소 연습도 이런저런 시뮬레이션을 머릿속으로 실행해 본 후 자리에 앉는 편이다. 그는 “어릴 땐 무작정 연습실에 앉아서 될 때까지 소리도 내봤는데 목에 무리만 갔던 것 같다”며 “성대는 소모품인만큼 최대한 건강한 발성을 하는 게 내 평생 숙제다”라고 했다.

이처럼 ‘지속가능한 목소리’를 추구하는 그도 한때는 쨍한 고음으로 주목 받았던 때가 있었다. ‘레떼 아모르’ 활동 땐 극고음을 소화하는 ‘레제로 테너(tenore leggero)’ 역할을 맡기도 했다. 여전히 고음도 안정적으로 잘 나오느냐는 말에 “반음 정도 음역대가 줄어든 것 같다”며 “지금은 3옥타브 도까지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btab0fecee745102e159177da8a64f5241.jpg

테너 김민석이 2020년 팬텀싱어 3에 출연했을 당시 노래를 부르는 장면. 유튜브 캡처

“팬텀싱어 촬영 쯤엔 잠시 ‘득음’해서 그 이상까지 올라가기도 했는데, 발성법이 좀 달라요. 크로스오버 공연에선 마이크를 쓰다보니 호흡을 좀 줄여 작게 소리 내도 음정만 정확하면 큰 문제가 없어요. 반면 클래식 공연 때는 마이크가 없기 때문에 같은 음을 내더라도 횡격막 아래까지 모두 열어서 온 힘을 다해 목소리가 울리게끔 호흡해야죠. 어떤 길로 소리를 내야할지, 정교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bt7ce4ae97f788a224bcbd050668461319.jpg

오는 29일 '노래의 날개 위에' 리사이틀 무대에 서는 테너 김민석. [제공 마포아트센터]

그는 “지금의 목소리가 마음에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가끔은 트랜스포머에 등장하는 로봇 ‘옵티머스프라임’의 극저음도 내보고 싶다”는 말도 덧붙였다.

“당분간 클래식에 집중하겠다”는 김민석의 다음 행보는 뭘까. “주변에서 “극 음악을 해야 한다”는 제안이 많았어요. 아마도 다음 도전은 오페라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간은 잘해 낼 용기가 워낙 나지 않았는데, 인생은 길잖아요. 또 다른 터닝포인트를 만들어보려고 해요.“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4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