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가공육, 담배처럼 '암 유발' 경고문 붙여야…

본문

btab20800c0bd662330b0a7b64f69b7cbd.jpg

소시지 자료사진. AP=연합뉴스

베이컨과 햄 같은 가공육 제품에 담배처럼 대장암 유발 경고문을 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영국 과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이들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가공육을 발암물질로 분류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정부가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과학자 4명을 포함한 전문가들은 최근 웨스 스트리팅 보건장관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영국에서 판매되는 베이컨과 햄의 90~95%에 아질산염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한다"며 "해당 제품에 발암 경고문을 의무적으로 부착하고, 식품업계가 향후 몇 년 내에 단계적으로 아질산염 사용을 중단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질산염은 베이컨이나 햄을 보존하며 특유의 붉은 색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이다. 아질산염을 과다 섭취하면 체내에서 니트로사민이라는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5년 가공육을 '인체발암물질'(그룹 1)로 지정했다. 이는 담배, 석면과 같은 등급이다. 당시 IARC는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위험이 약 18%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WHO 보고서가 나온 지 10년이 지났지만 정부는 사실상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그 결과 지난 10년간 영국인 약 5만4000명이 대장암에 걸렸으며 이로 인해 NHS(국민보건서비스) 부담이 30억 파운드(5조7500억원)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데니스 코르페 툴루즈대 명예교수는 "소비자들은 자신이 먹는 음식에 대해 명확한 정보를 알 권리가 있다"며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WHO가 아질산염으로 처리된 가공육을 담배와 같은 발암물질로 분류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암연구기금(WCRF)은 "가공육 섭취가 대장암 위험을 높인다는 과학적 근거는 충분하다"면서도 "경고 라벨 도입보다는 학교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건강식품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사회복지부 대변인은 "식품기준청(FSA)은 질산염, 아질산염이 암과 직접적으로 연관됐다는 확정적인 결론은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4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