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딸한테 물어봐” 발언 후폭풍…독일 여성계, 총리에 “치안 대책 세워라”
-
10회 연결
본문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가 지난 23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의 이민자 관련 발언이 여성 치안 논쟁으로 비화했다. 여성계는 메르츠 총리의 “딸에게 물어보라”는 발언을 비판하면서도, 이번 논란을 계기로 여성 안전을 강화할 구체적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28일(현지시간) 독일 주간지 슈피겔에 따르면 독일 정치·학술·예술계 여성 50명은 최근 메르츠 총리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성폭력·가정폭력 엄중 처벌 ▶공공장소 조명 개선 ▶여성 대상 폭력 데이터 수집 ▶노년 여성 빈곤 해소 등 10가지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우리는 딸들, 즉 여성의 안전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하고 싶다”며 “그러나 인종차별적 서사를 정당화하는 값싼 구실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논란은 메르츠 총리가 지난 14일 “도시 이미지에 이 문제(이민자)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발언하면서 촉발됐다. 해당 발언이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이 잇따르자, 그는 엿새 뒤 기자에게 “딸이 있다면 내가 한 말이 무슨 뜻인지 한번 물어보라”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여성의 안전 문제를 이민 강경책의 근거로 이용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 연방정부 각료가 총리를 거들면서 논쟁에 불을 지폈다. 니나 바르켄 보건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폭력 범죄가 증가했고 상당수 용의자가 외국인”이라며 “여성들이 호신용 스프레이를 소지하거나 특정 지역을 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여성 치안 문제가 이민 문제와 연결돼 있다는 주장이다.
독일은 유럽 내에서도 비교적 치안이 안정된 국가로 꼽혀왔지만, 최근 테러와 강력범죄가 잇따르면서 2010년대 중반 이후 급증한 이민자 유입을 원인으로 지목하는 시각이 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시베이가 지난 23∼27일 실시한 조사에서 여성 응답자의 55%는 거리, 대중교통, 공원, 클럽 등 네 곳 모두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다. 남성을 포함한 전체 응답자 중에서도 49%가 동일한 응답을 했다.
그러나 치안 불안과 별개로 메르츠 총리의 발언에 대한 비판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포르자 조사 결과, 응답자의 66%가 메르츠 총리가 “말을 더 신중히 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그의 직무 수행에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72%로 취임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5월 취임한 메르츠 총리는 과거에도 이민자 관련 부적절한 발언으로 여러 차례 논란에 휩싸였다.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 난민들이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 독일과 자국을 오간다며 이를 “사회적 관광”이라고 표현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