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홍길동·전우치 지금 살아있다면…
-
7회 연결
본문

조선 시대 영웅의 서사가 담긴 원작 소설에 풍자와 해학을 가미한 마당놀이 ‘홍길동이 온다’. [사진 국립극장]
조선 시대 대표 영웅 캐릭터가 마당놀이와 가무극(歌舞劇)을 통해 무대에 선다. 전통극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되, 2025년의 관객들에게도 울림을 전하는 새로운 서사와 풍자로 변주한 작품들이다.
마당놀이 ‘홍길동이 온다’는 다음 달 28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무대에 오른다. 조선 중기 소설 『홍길동전』을 마당놀이 특유의 풍자와 유머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지난 2000년 무대에 오른 극단 미추의 마당놀이 ‘홍길동전’을 바탕으로 오늘날 시대 정서를 반영해 각색했다. 홍길동이 겪었던 신분 차별과 같은 불합리를 사회적 불평등, 청년 실업 등 현재 사회 문제와 교차해 풀어내겠다는 게 제작진의 설명이다.
당시 미추 대표였던 손진책이 이번 ‘홍길동이 온다’의 연출을 맡았다. 손진책은 29일 국립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예전 홍길동이 신분의 벽을 겪었다면, 오늘날에는 이념의 벽, 자본의 벽 등이 있다”며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이 모두가 홍길동이 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젊은 세대가 공감하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K팝이나 현대적 안무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작품에서 홍길동은 여성 소리꾼이 맡는다. 국립창극단의 ‘간판’ 이소연과 국악 그룹 ‘우리소리 바라지’의 김율희다. 이소연은 “‘멋쁜(멋지고 예쁜)’ 홍길동을 보여드리고 싶다”며 “세상에 하고 싶은 말을 홍길동이 되어 대신 전해드리겠다”고 말했다. 25년 전 미추의 작품에서도 여성인 김성녀가 홍길동을 연기했다. 김성녀는 이번엔 연희감독을 맡아 후배들에게 노하우를 전하고 있다.

전통 설화에 현대적 상상력을 더해 재창작한 가무극 ‘전우치’. [사진 서울예술단]
또 다른 전통 영웅 캐릭터 ‘전우치’는 가무극을 통해 관객을 찾아왔다. 서울예술단은 지난달 25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창작가무극 ‘전우치’를 공연한다. 전우치는 조선 중기 실존 인물이자 상상을 더해 만들어진 고전 소설 『전우치전』의 주인공이다. 도술을 부려 부패한 권력을 응징하고 백성을 구제했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이대웅 연출은 “전우치를 통해 현실에 타협하지 않으면서 끝까지 싸우는 인간적인 저항의 얼굴을 그리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