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망하는 걸 알면서도, 기타는 중독이다”
-
8회 연결
본문

이선정은 공연과 영화를 묶은 예술프로젝트 ‘더 뮤지션’을 기획했다. [사진 본인]
“기타는 중독이다. 망하는 걸 알면서도 놓지 못한다.”
기타리스트 이선정은 중학교 때 잡은 기타를 35년 넘게 놓지 않은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22일 서울 한남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비틀스에 빠졌다가 에릭 클랩튼을 통해 블루스를 알게 되며 인생이 바뀌었다”고 했다. 2009년 블루스 록 밴드 이선정밴드를 결성해 보컬 겸 기타리스트로 활동했고, 지난 5월엔 기타리스트의 상실과 사랑을 그린 영화 ‘기타맨’으로 감독 겸 배우로 데뷔했다.

그는 11월 2일 서울 삼성로 가빈아트홀에서 열리는 국내 최고 기타리스트 6인의 합동 공연 ‘2025 더 뮤지션’ 콘서트에 나선다. 직접 기획한 프로젝트로, 공연 제작기를 모아 다큐멘터리 영화로도 만든다. 이근형, 이성렬, 타미킴, 이선정, 찰리정, 샘리 등 유명 가수들의 세션으로 활약해온 연주자들이 이번엔 반주자가 아닌 ‘주인공’으로 무대에 서는 이야기다.
이선정은 “밴드 음악이 설 자리가 점점 사라진다”며 “소외됐던 뮤지션들의 흔적을 남기고 싶었다”고 말했다. “참여한 기타리스트들은 세션으로 큰돈을 벌 수 있는 사람들이지만, 지방 클럽에서 출연료 없이 연주할 만큼 음악에 대한 열정이 크다”고 덧붙였다.
공연에서는 록, 퓨전 재즈, 블루스 등 각자의 장르로 만든 영어 신곡들이 연주된다. “영화와도 연결된 예술 실험이기 때문에 글로벌을 겨냥하면 좋겠다”는 마음에 영어로 가사를 써줄 것을 출연자들에게 부탁했다.
“사람의 손끝에서 나오는 음악은 AI(인공지능)가 대체할 수 없다”고 믿는다는 그는 “단순히 ‘기타를 잘 친다’가 아니라 각 기타리스트의 인생이 보이는 무대가 될 것”이라며 ‘2025 더 뮤지션’에 기대를 당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