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챗GPT발 고용 재편…청년 일자리 21만개 줄 때 50대 채용은 되레 늘어
- 
                
                1회 연결
본문

인공지능(AI) 확산 3년 만에 세대별 고용의 희비가 갈렸다. 청년층 일자리는 줄었지만, 50대 고용은 오히려 늘었다. 핵심 이유는 AI가 대체할 수 없는 경력과 경험이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연공편향 기술변화를 중심으로(오삼일·한진수)’의 내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가 출시된 2022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3년간 청년층(15~29세) 일자리가 21만1000개 줄었다. 이 중 98.6%가 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9000개 늘었는데, 그 가운데 69.9%가 AI 고노출 업종으로 분류됐다.
현재 국내 근로자의 63.5%가 AI를 활용하고 있고, 업무용으로 봐도 51.8%에 달한다. 오삼일 한은 고용연구팀장은 “AI는 주니어가 주로 수행하는 정형화되고, 교과서적인 지식이 필요한 업무를 상대적으로 쉽게 대체한다”며 “반면 시니어의 경력에 기반한 ‘암묵적인 지식’(tacit knowledge), 협업이나 조직 관리, 대인관계 등이 필요한 업무는 AI가 보완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국민연금 가입자 1600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청년 고용 감소가 가장 컸던 분야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 관리업(11.2%)과 정보 서비스업(23.8%), 출판업(20.4%), 법률·회계·광고와 같은 전문서비스업(8.8%) 등이었다. 반면 보건업·교육서비스업·항공운송업 등은 청년 고용이 덜 감소했다. AI를 자주 쓰더라도 사람의 관리와 판단, 상호작용이 필요한 업무 등은 사라지지 않았다는 걸로 해석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