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대통령 부인의 뒤틀린 ‘궁궐 사랑’

본문

btfaf099714f8330113a345eda791a5ef7.jpg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너무 아름다운 곳이었는데, 같이 갔었더라면….” 1979년 7월 방한했던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당시 직함)은 창덕궁 후원(당시 명칭은 비원)을 먼저 다녀온 부인 로잘린 여사의 이 말에 바로 오후 일정을 바꿨다. 부부가 승용차로 창덕궁 경내를 한 바퀴 돌고 인정전 앞을 산책하고 있을 때 한국의 문공부(현 문체부) 장관이 그제야 통지를 받고 헐레벌떡 달려왔다. 당시 일간지들은 이를 ‘미국 대통령의 예정에 없던 주말 데이트’라며 훈훈한 일화로 보도했다.

주무부처 장관도 모르는 새 남의 나라 고궁을 둘러본 미국 정상 얘기가 지금 보면 뜨악하지만 그 시절 궁궐 향유는 일부 계층의 몫이었던 듯하다. 1963년 주요 궁궐이 ‘사적’으로 지정된 후로도 오랫동안 수학여행 코스나 외국인 타깃 관광지로 인식됐다. 심지어 1980년 전두환 대통령의 ‘취임 경축 리셉션’이 경복궁 경회루에서 1200여 내외빈이 참석한 채 진행되기도 했다. 권력의 후광을 벗고 고궁 문이 일반인에게 활짝 열린 건 1990년대 후반 창덕궁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고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이 4대 궁궐의 복원·활용에 적극 나서면서다. ‘야간 궁궐 관람’ 등이 대중화하면서 K팝 그룹 방탄소년단이 근정전을 배경으로 춤추고 노래할 수 있게 됐다. ‘고궁 향유의 민주화’라 할 만하다.

bt278c0eee6ec83ce7d7a6c39009abf87e.jpg

2025 가을 궁중문화축전 기간에 한복을 입고 경복궁을 찾은 외국인 관람객 커플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궁궐 사랑’이 튀는 건 이런 민주화 흐름에 역행해서다. 이재명 정부의 첫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 국정감사에서 공개된 이들의 궁궐 방문 내역(민형배 의원실 제공)은 2년간 총 12차례나 된다. 꼼꼼히 들여다보니 처음엔 ‘관람’ 목적으로 갔다가 마음에 쏙 들었는지 이후엔 외교와 친교 행사의 장으로 활용한 모양새다. 휴궁일에 외교 목적으로 궁궐을 활용한 것 자체가 문제일 순 없고 비공개가 불가피한 행사도 있을 수 있다. 그렇다 해도 종묘 안에서도 출입이 제한되는 신실(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곳)을 예정에 없이 열어준 것 등은 ‘의전 특혜’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국가유산청에 오래 근무한 관계자는 “높은 분이 오시면 하나라도 더 홍보하고 싶은 게 청의 입장인데, 목적이 불분명한 요청까지 수발들다가 이 사달이 났다”고 씁쓸해했다.

국감에서 아쉬웠던 것은 여당이 이걸 정치적으로 확대해 ‘국보 농단’으로 밀어붙이면서 보여준 또 다른 ‘시대착오’다. 김건희 여사가 근정전 어좌(용상)에 앉은 걸 두고 “일개 아녀자가 왜, 용상에!” 할 땐 우리가 아직도 조선 왕조를 살고 있나 싶었다. 김 여사의 어좌 착석이 볼썽사나운 것은 애초에 방문 목적이라던 외빈 접대 점검과 아무 관계가 없어서이고, 아무리 재현품일지라도 문화유산 보호를 솔선수범해야 할 대통령 부인의 행보라기엔 경박해서다. 국가유산의 사적 유용은 안 될 일이지만 ‘성역화’ 하는 것도 진짜 궁궐 사랑이 아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0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