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학 기숙사 수용률 22%…기숙사비 '현금 일시납' 10곳 중 …
- 
                
                6회 연결
본문

서울대학교 학부생 기숙사인 관악학생생활관. 사진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올해 대학 기숙사 수용률이 전년보다 소폭 하락했다. 교육당국은 1인실, 2인실 형태의 기숙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31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2025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년제 일반·교육대학 193곳의 기숙사 수용률은 전년(22.8%)보다 0.6%P 줄어든 22.2%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일반대의 기숙사 수용률은 17.8%, 비수도권 일반대의기숙사 수용률은 25.9%로 나타났다. 설립 유형별로는 국공립 일반대 기숙사 수용률이 26.6%, 사립 일반대 기숙사 수용률은 20.8%였다.
기숙사비 납부 방식은 전체 249개 기숙사 가운데 현금 일시 납부인 곳이 149개(59.8%)로 가장 많았다. 현금 분할 납부를 실시하는 곳은 79개(31.7%), 카드 납부가 가능한 곳은 55개(22.1%)로 조사됐다.
지난해 학생 1인당 도서관 자료 구입비는 15만1868원으로 2023년(14만3490원)보다 5.8% 증가했다. 도서관 자료구입비는 2020년(12만2559원)부터 매년 증가 추세를 기록하며 5년 간 약 23% 늘었다.
누구나 수강할 수 있는 대학 공개 강좌 수는 지난해 ‘케이무크(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 1892개를 포함, 총 2488개로 집계됐다. 2023년(2162개)보다 15.1% 증가하는 등 강좌 수는 2020년부터 꾸준히 늘고 있다.
사립대학(법인)의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올해 100.6%로 2024년(97.0%)보다 3.6%P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107.8%로 전년(105.4%)보다 2.4%P, 비수도권대학은 89.2%로 전년(83.7%)보다 5.5%P 각각 올랐다.
학교법인이 부담하는 사학연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고용보험 등 법정부담금 부담률은 작년 54.3%로 전년(53.1%)보다 1.2%p 늘었다.
한편 대학정보공시 분석은 총 408개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의 학생, 교원, 재정 등 현황에 대해 항목별로 매년 4월, 6월, 8월, 10월 발표된다. 이번 분석은 4년제 일반·교육대학 193곳, 전문대 129곳 등 총 322개 대학을 대상으로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