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15분 지각한 시진핑, 李대통령 만나 "황남빵 맛있습니다" [경주 APEC]
- 
                
                4회 연결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오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처음 만났다. 두 정상은 간단한 인사를 주고받으며 대화를 이어갔는데, 이 대통령은 예정보다 늦게 도착한 시진핑을 기다린 뒤 직접 회의장으로 에스코트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20분쯤부터 경주 화백컨벤션센터 1층 회의장 입구에서 APEC 회원 대표들을 영접했다. 특별초청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시작으로 베트남, 미국, 대만, 태국, 싱가포르 대표 등이 차례로 회의장으로 들어섰다. 입장은 알파벳 역순이었다.
이에 따르면 시진핑은 끝에서 다섯 번째, 홍콩과 칠레 대표 사이에 입장해야 했다. 그러나 존 리 홍콩 행정장관 다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건 시진핑이 아닌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이었다. 시진핑이 도착하지 않은 채로 마지막 인사인 아랍에미리트(UAE)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까지 영접한 이 대통령은 회의장에 들어갔다.
시진핑은 예정된 입장 시각보다 15분이 지난 오전 10시2분쯤 행사장에 도착했다. 다시 나와 기다리고 있던 이 대통령이 “환영합니다”라고 하자 “안녕하십니까”라고 답한 뒤 다소 굳은 표정으로 악수했다. 양국 정상은 기념사진을 촬영한 뒤 회의장으로 함께 이동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길이 불편하진 않으셨느냐”고 물었고, 자연스럽게 직접 시진핑을 안내하는 모양새가 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맞이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진핑은 회의장으로 들어선 뒤엔 미소를 보이며 타국 정상과 인사했다. 이 대통령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화답하기도 했다. 화면에서는 중국 측 통역이 이 대통령에게 “황남빵 맛있습니다”라고 시진핑의 말을 통역하는 듯한 음성이 잡히기도 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웃으며 그를 자리로 안내했다.
이와 관련,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어제 시 주석을 환영한다는 뜻에서 갓 만든 따뜻한 황남빵을 한식 자기에 포장해 ‘경주의 맛을 즐기시길 바란다’는 메시지와 함께 전달했다”며 “이날 오전 중국 측에 황남빵 200박스를 추가로 보냈고 시 주석이 ‘맛있게 먹었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시진핑은 이 대통령에게 ‘경주가 아주 오랜 역사를 가진 인상적인 곳이다’라는 감상도 전했다고 강 대변인은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중국 외 모든 회원국 대표단에게도 황남빵을 선물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31일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을 환영한다는 뜻에서 갓 만든 따뜻한 황남빵을 한식 보자기에 포장해 ‘경주의 맛을 즐기시길 바란다’는 메시지와 함께 전달했다고 밝혔다. 시진핑 주석과 중국 측 대표단에게 보낸 황남빵 사진. 사진 대통령실
다자회의에서 정상들이 행사에 늦게 오는 게 드문 일은 아니지만, 시진핑의 도착 지연을 두고선 의도적인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시진핑의 숙소인 코오롱호텔은 행사장에서 약 6km 떨어져 있어 다소 거리가 있지만, 현재 경주 시내는 APEC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엄격한 교통 통제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 총회가 열리는 뉴욕 등 혼잡한 교통상황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다자 행사에는 여러 정상이 참석하는 만큼 행사장 도착 시각은 분 단위까지 끊어 사전에 조율한다.
1일 한·중 정상회담을 앞둔 ‘기선 제압’일 수 있다는 해석도 그래서 나온다. 앞서 지난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측이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도입에 공감한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30일 “비확산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하라”며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시진핑이 예상보다 늦은 시간에 도착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자세한 상황을 알아야 봐야 한다”고 답했다.
대만 대표 ‘차이니스 타이페이’로 소개
한편 이날 영접 과정에서 장내 아나운서가 린신이 대만 총통 상임 고문을 ‘차이니스 타이페이(Chinese Taipei) 린신이 회장입니다’라고 소개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대만은 1991년 ‘차이니스 타이페이’란 명칭으로 APEC에 가입해 활동해왔다. ‘중화민국의 타이베이 정부’라는 의미로,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운 중국의 주장이 반영된 결과였다. APEC은 주권국이 아닌 ‘경제체’(economy)를 참가 자격으로 둔다.
대만은 이 같은 표현에 대해 그간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천우이벤(陳水扁·2000년 5월~2008년 5월) 전 대만 총통은 재임 시절 공식적인 대만 명칭을 ‘타이완’으로 주장했다. 대만 정부는 1997년 한국이 대만의 공식 명칭 ‘중화민국 (The Republic of China)’을 ‘차이니스 타이베이 (Chinese Taipei)’로 변경한 것에 대해 항의하기도 했다. 2021년엔 대만 배드민턴 선수 왕치린이 도쿄 올림픽 남자 복식 결승에서 중국팀을 이긴 뒤 소셜미디어(SNS)에 “난 대만에서 왔다”고 적기도 했다. 당시 일본 공영방송인 NHK 앵커는 올림픽 개회식 생중계 중 대만을 ‘타이완’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