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민주 '최민희 논란' 수습 국면 진입…위원장직 사퇴론엔 선긋기

본문

bt4fc530df3c2494658cc5075c3187eaca.jpg

지난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의 사퇴 요구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의 ‘자녀 국회 결혼식’ 논란에 대한 공식 사과를 계기로 사태 수습에 나섰다. 국정감사가 사실상 마무리되고 입법·예산 정국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지도부는 최 위원장의 사과로 비판 여론이 가라앉기를 기대하며 상임위원장직 사퇴론에는 선을 긋는 분위기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31일 최고위원회의 후 “당 지도부는 최 위원장 논란을 포함해 국감을 돌아보는 자리를 갖겠지만, 상임위원장직 사퇴를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전날 ‘국감 종료 후 최 위원장의 입장 공유 및 정리 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발언에 대해서도 “위원장직 정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해명했다.

당 핵심 관계자 역시 “결혼식은 사적인 영역의 문제로 지도부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최 위원장의 사과로 논란을 매듭짓는 방향”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입장은 최 위원장이 국회 선출직인 만큼 지도부가 사퇴를 강제할 수 없고, 당내에서 최 위원장을 옹호하는 지지층 여론이 만만치 않은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야당이 이 사안을 빌미로 공세를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 기류도 깔려 있다.

강득구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딸이 정한 대로 결혼식을 진행했다고 들었다”며 “날짜 조율이나 확인이 부족한 점은 아쉽지만 고의로 산하기관에 알렸다는 비판은 과하다”고 최 위원장을 두둔했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은 “국민 정서를 자극한 사안인 만큼 단순 사과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자녀 결혼식 논란과 MBC 보도본부장 퇴장 명령 등 국감 중 논란이 여전하고, 국민의힘이 경찰 고발과 권익위 신고 등 법적 절차를 밟고 있어 논란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이번 논란은 쉽게 진화되지 않을 것”이라며 “말뿐인 사과로는 해결이 어렵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8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