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공계 석·박사 43% “3년내 해외 이직 고려”…주된 이유는 ‘돈’
-
0회 연결
본문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지난 9월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유출방지 및 유치 TF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뉴스1
국내 이공계 석·박사급 인력 10명 중 4명은 3년 내 외국으로 이직할 의향이 있거나 실제 준비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주로 낮은 보상과 열악한 연구 환경을 주요 불만 요인으로 꼽았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 체류 중인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 19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2.9%가 “향후 3년 내 외국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5.9%는 이미 구체적인 이직 계획을 세우거나 인터뷰를 진행 중이었다.
분야별로는 바이오·제약·의료기(48.7%)에서 해외 이직 의향이 가장 높았으며, IT·소프트웨어·통신(44.9%)과 조선·플랜트·에너지(43.5%) 등에서도 40%를 넘어섰다.
연령대별로는 20대(72.4%)와 30대(61.1%)가 두드러졌고, 특히 30대의 10.4%는 실제 이직 준비 단계에 있었다.

이공계 석박사 인력 해외 이직 고려 비중. 자료 한국은행
이직 이유를 묻는 질문(복수 응답)에는 66.7%가 금전적 보상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연구 생태계·네트워크(61.1%), 기회 보장(48.8%), 자녀 교육(33.4%), 정주 여건(26.1%) 순이었다.
해외에 체류 중인 한국인 이공계 인력 778명을 포함한 분석에서는 연구환경, 근무 여건, 연봉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해외 근무자의 만족도가 국내 근무자보다 약 1.5배 높았다.
특히 연봉 격차가 컸다. 해외 체류자는 13년 차에 평균 36만6000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반면, 국내 체류자는 19년 차에야 12만7000달러 수준이었다.
분석 결과, 소득·고용안정·승진기회에 대한 만족도가 한 단계(5점 척도 기준 1점) 상승할 때 해외 이직 확률은 각각 4.0%포인트, 5.4%포인트, 3.6%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석박사 인력의 해외 이직 고려 요인. 자료 한국은행
최준 한국은행 거시분석팀 과장은 “이공계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성과 중심의 유연한 임금·보상 체계가 필요하다”며 “정부도 인적자본 투자에 세제 인센티브와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석사급 연구 인력이 국내에서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측 가능한 경력 트랙을 마련하고, 해외 연구기관 및 연구자와의 교류를 확대해 R&D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과장은 이어 “해외 경험 인력을 유연하게 수용하고, 이들이 다시 국내 연구 생태계로 돌아올 수 있는 ‘인재 순환형’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며 “정부는 우주항공, 방산 등 전략 기술 분야를 개방하고 기술 창업 기반을 확충해 혁신 생태계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