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자본주의 심장 뉴욕서 사회주의 시장 당선 됐다…무슬림 34세 신예
-
12회 연결
본문

4일(현지시간) 조란 맘다니 민주당 뉴욕시장 후보가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선거에 참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세계 자본주의의 심장부인 미국 뉴욕을 이끌 시장에 민주당 후보이자 사회주의자인 조란 맘다니(34) 뉴욕주 하원의원이 당선됐다.
AP통신은 4일(현지시간) 치러진 뉴욕 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인 맘다니가 당선을 확실시했다고 보도했다.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뉴욕에서 젊은 이민자 출신의 사회주의자 시장의 시대가 열렸다. 이뿐이 아니다. 뉴욕 최초의 무슬림, 아프리카 출신이자 20세기 이후 최연소 시장이다.
맘다니는 우간다에서 태어나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거쳐 7살 때 미국의 정착했다. 무료버스, 무상보육 등 포퓰리즘성 공약을 줄줄이 내놓았지만, 사실 전형적인 엘리트 출신이다. 그의 어머니 미라 나이르는 유명 영화감독으로 ‘몬순 웨딩’으로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기도 했다. 인도계 우간다인인 아버지는 컬럼비아대 정치학 교수다.
엘리트 집안에서 태어난 외동아들답게 뉴욕 맨해튼의 사립학교와 브롱스과학고를 다녔다. 대학은 명문 사립대인 보든 칼리지를 졸업했다. 보든 칼리지는 연간 학비만 7만 달러(약 1억원)에 달하는 곳이다. 맘다니 자신도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난 특권적인 환경에서 자랐다. 무언가를 원할 필요가 없었지만, 대부분의 뉴욕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4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맘다니의 지지자들이 선거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맘다니가 소위 진보적 색채를 띠기 시작한 건 대학 시절부터다. 그는 대학에서 친(親)팔레스타인 단체를 조직해 활동했다. 졸업 후엔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상담사 등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주로 저소득층 이민자 가정들이 퇴거 통지에 대응하고 집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했다고 한다. 이는 맘다니가 임대료 동결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맘다니는 2015년 뉴욕시의회 선거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하며 정계에 입문했다. 본격적으로 정치를 시작한 후엔 자신을 '민주사회주의자(democratic socialist)로 칭할 만큼 좌파 정치인으로 완전히 탈바꿈했다. BBC는 “(맘다니는) 민주당이 오랫동안 찾아왔던 정치인을 대표한다”며 “젊고 카리스마가 넘치며 소셜미디어에 익숙하다”고 봤다.

맘다니가 뉴욕의 할랄 음식 푸드트럭을 소개하는 틱톡 영상. 사진 틱톡 캡처
맘다니는 힙합 음악 애호가로도 알려져 있는데, 2016년 ‘영 카다멈(Young Cardamom)’이란 이름으로 음반을 내기도 했다. 카다멈은 인도에서 흔히 쓰이는 향신료다. 노래 제목과 가사에도 우간다어를 쓰는 등 자신의 이민자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해왔다.
이번 선거에서도 틱톡 영상으로 할랄 음식을 파는 푸드 트럭의 어려움을 꼬집는 등 이민자 출신임을 적극적으로 내세웠다. 뉴욕은 미국에서 무슬림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인데, 외신들은 맘다니의 선거 전략이 유효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짧은 정치 경력에 대해선 의구심도 나온다. 맘다니는 지난 4년간 퀸즈 주의원으로 활동한 게 전부인데, 뉴욕 시장이 되면 30만 명의 공무원과 1120억 달러(약 161조 86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이끌어야 한다.

맘다니와 아내 라마 두와지. 로이터=연합뉴스
올 초 부부의 연을 맺은 아내 라마 두와지(27)도 화제다. 맘다니는 두와지와 데이팅앱 ‘힌지’로 처음 만난 사실을 공개해 젊은 세대의 공감을 이끌었다. 두와지 역시 시리아계 이민자 가정 출신이다. 애니메이터이자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맘다니의 선거 운동을 도왔다.
인스타그램에서 18만 팔로워를 둔 인플루언서이기도 한 두와지는 커플 사진 외엔 별다른 홍보를 하지 않았다. 대신 두와지는 맘다니의 선거 운동에 늘 동행하며, 홍보 포스터도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CNN은 “두와지는 (선거 운동 기간) 의도적으로 정치인 아내의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았다”며 “당선 후엔 역할이 커질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