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홈플러스 노조 "공적기관이 부실채권 정리" 요구…무기한 농성도

본문

bt31ca1166ac7f6c4726a9a4992317dc47.jpg

지난 5월 홈플러스 노조원들이 정상화를 촉구하며 108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산 위기에 몰린 홈플러스에 공적 자금 투입으로 부실채권이 정리돼야 한다고 노조 측이 요구했다. 노조는 이미 인수 계획을 밝힌 영세 업체들이 아닌 "농협이 나서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일대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약 1000명이 모인 집회 현장에선 정부를 향한 요구가 구체적으로 언급됐다. 이들은 "홈플러스는 임직원과 외주·협력업체 등 10만개 일자리와 국산 농산물 유통의 20%를 책임지고 있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기한 농성도 예고됐다. 최철한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사무국장은 "대통령실이 오후 7시까지 서명을 받으러 오지 않고 대화에 응하지 않는다면 무기한 단식농성 투쟁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홈플러스 TF는 "공개입찰에서 (적격의) 인수자들이 나타나지 않으면, 연합자산관리회사(유암코)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공적기관이 부실채권 정리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공적 자금을 투입해 부실채권을 해소해야 경쟁력 있는 유통업체가 인수 의향을 밝힐 거라는 논리다.

하지만 노조의 요구가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노조가 인수 후보로 점찍은 농협은 하나로마트 적자 등을 앞세워 공개입찰에 서류를 내지 않았다.

2만명의 임직원과 적자 상태의 홈플러스를 떠안으려는 민간 업체가 갑자기 등장할 가능성도 낮다. 더불어민주당 TF는 홈플러스 인수 조건으로 2만명 임직원의 고용승계·입점업체 영업승계·10만 협력업체 거래선 유지를 제시했지만, 실상은 이렇다 할 기업 중에 인수 의향을 보이는 곳이 없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1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