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바다 속 경주서 '보물선' 또 찾았다…고려청자 무더기 발견

본문

bt2013f71ce6cf3ce51774fca48fa278df.jpg

'바닷속 경주'로 불리는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수백 년 전 가라앉은 것으로 추정되는 난파선 흔적이 새롭게 발견됐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을 조사하던 중 곡물과 도자기를 운반하다가 침몰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古)선박의 흔적을 찾았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마도 5호선(추정)' 출수 유물. 연합뉴스

물살이 거칠고 풍랑이 심해 예로부터 뱃사람들이 ‘배들의 무덤’으로 두려워했던 충남 태안 마도 해역 일대. 2007년 고려청자 2만 3000여 점을 적재한 태안선(고려시대)을 시작으로 마도 1~4호선까지 총 5척의 난파선이 확인되면서 ‘바다 속 경주’라는 새로운 별칭을 얻었다. 이곳에서 2015년 마도 4호선 발굴 이래 10년 만에 새로운 침몰 선박 흔적이 포착되면서 또 다른 ‘바다 속 고려사’의 가능성을 예고했다.

마도 1~4호선 부근서 5호선 흔적 확인 #청자 수십점 출토…"1150~1175년 침몰" #조선 유일 선박은 발굴 10년 만에 인양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10일 서울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간담회를 열고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 4호선의 선체 부재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또 다른 난파선이 묻힌 징후를 확인했다”면서 해당 지점에서 출토된 청자 수십점을 공개했다. ‘마도 5호선’으로 임시 명명된 이 선박 부근에선 틀을 이용해 찍어내는 ‘압출양각 기법’의 다양한 완(碗, 소형 사발), 잔, 접시 등이 나왔다. 특히 기존 고려 선박에서 나온 적 없는 팽이 혹은 삿갓 모양의 소완들이 눈길을 끌었다.

btbf764accb0eabeb36e86e11bc69b754b.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해역 음파탐사 중 발견한 청자다발. 사진 국가유산청

btc2c4145a03037799168e5586763c5ea0.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5호선(추정)에서 확인된 접시. 사진 국가유산청

자현도자자료관의 한성욱 관장(민족문화유산연구원 이사장)은 “12세기 중반에 유행한 양식으로 앞서 강진·부안 일대 가마터에서 비슷한 시기의 자기들이 출토된 바 있다”면서 “자기의 세부 형태를 감안할 때 1150~1175년 사이에 침몰된 선박으로 보인다”고 했다.

연구소 측은 이곳에 실렸던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 다발 2묶음 87점(접시 65점, 완 15점, 잔 7점) 외에 목제 닻과 밧줄, 볍씨 등과 함께 고선박의 선체 조각과 화물받침목(통나무)도 발견했다. 이 같은 유물 구성은 마도 1·2호선과 비슷해 곡물과 도자기를 운반하던 선박으로 보인다. 출토된 청자들은 기포 자국이 많고 접시 바닥의 굽도 상급 품질에 쓰는 규석과 중급용 내화토가 섞여 있어 “중하위 관료에게 전달하려던 일상 식기로 추정된다”(한성욱 관장)고 한다.

연구소는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 내년에 본격 발굴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마도 5호선이 실제로 발견될 경우 태안선(12세기 후반), 마도1호선(1208년), 2호선(1210년경), 3호선(1265∼1268년경)보다 앞선 시기의 고선박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btdb81d71aacff67003811b134d160f97b.jpg

김경진 기자

btc04882540f283b6f4f8925a78116d3d6.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청자다발 주변에서 발견된 마도 5호선(추정) 선체편. 사진 국가유산청

bt725421fb30937d16daa350b48fbf4e36.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해역 음파탐사 중 발견한 마도 5호선(추정) 청자다발. 사진 국가유산청

btbfb7f5490e0e336fddf90b48534b88d1.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청자다발 주변에서 발견된 마도 5호선(추정) 목제닻과 닻돌. 사진 국가유산청

이날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 선박인 마도 4호선의 인양 성과도 공개됐다. 4호선은 2015년 수중에서 발견될 당시 역사 속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조선시대 세곡(稅穀, 조세로 바치는 곡식) 운반선의 실체를 드러낸 첫 수중유산으로 주목받았다. 당시 수거된 목간(63점) 등을 통해 전남 나주에서 거둬들인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현재 서울 마포구)으로 향하던 선박으로 확인됐다. 선박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1410~1433년)와 기타 흔적을 감안할 때 1420년경 침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bt620516bb57faec4023e7007ed69e428c.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4호선 선체인양 작업 모습. 사진 국가유산청

당시 선박 안에선 바닥에 ‘내섬(內贍)’이라고 적힌 접시 등 분청사기 152점이 나왔다. 내섬시(內贍寺)는 조선시대 궁궐에 바치는 토산물과 2품 이상에게 주는 술과 안주 등을 담당한 관청으로 이곳에서 쓰려던 공납용 자기임을 알 수 있다. 그 외 각종 도기류도 수거됐다.

연구소는 발굴 10년 만인 올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바다 깊이 파묻힌 잔존 선체를 건져올리는 작업을 했다. 침몰 약 600년 만에 뭍으로 올려진 선체는 길이 12m, 너비 5m 규모로 총 107점의 부재가 수습됐다(저판 8채 3열, 외판 56재 11단, 가름목 36재, 기타 7재). 수중발굴과의 신종국 과장은 “우현쪽으로 90도 꺾여서 침몰된 터라 (뻘 속에 묻혀 보존된) 우현은 11단 가량 남았고 좌현은 3단 정도만 남았다”고 설명했다.

bta4b0ca6e742df7b697f1647b24808929.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4호선 인양 전 상태(잔존규모 길이 12m, 폭 5m). 사진 국가유산청

btbf671469ce20133ce27242f27907618f.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4호선 선체인양 작업 모습. 사진 국가유산청

bt37256631a5ac31ec763c1c6592afcb4f.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4호선 선체인양 작업 모습. 사진 국가유산청

기존에 발굴한 고려 선박이 중앙에 돛대 한 개만 세웠던 반면, 마도 4호선은 앞부분과 중앙에 1개씩 세운 쌍돛대 구조다. 이를 통해 항해 속도를 높이고 바람 방향에 따른 조정도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 선박이 목재를 세로로 배열해 앞판(船首材, 선수부)을 조립한 반면 마도 4호선은 가로로 배열해 내구성을 높이고, 작은 나무못 위주로 선체를 정밀하게 연결하는 한편, 선체 수리에 나무못이 아닌 쇠못을 사용한 점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10년간 인양 작업이 미뤄진 데 대해서 연구소의 이은석 소장은 “한정된 예산으로 다른 지역(제주, 군산, 영광 등)도 탐사발굴해야 했고, 부재를 건진 뒤 보존처리 시설 확보에도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그간 마도~신진도 구간의 제방 공사 등에 따라 물길 흐름이 바뀌면서 다른 각도에서 해저 유물에 접근할 여지가 생긴 것도 10년 만의 작업 재개 계기가 됐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올해 연구소의 발굴탐사비(총 26억원)를 마도 해역에 집중하면서 이 같은 성과를 얻었다.

bt8c462c6b8af2b2d7c36bb00151f4bcd4.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마도4호선 선체편이 태안해양유물전시관의 탈염처리장에 입고된 모습. 사진 국가유산청

마도 5호선까지 발견되면 반경 1㎞ 해역 안에 고려~조선 침몰선 5척이 몰려 있게 된다. 예로부터 지역에서 한양으로 물자를 싣고 오는 선박은 마도 해역을 지날 때 관장목~안흥량 일대에 피항·정박하곤 했다. 그러다가 태풍 등으로 조류가 급변할 경우 그대로 침몰하는 일이 잦았는데, 조선왕조실록에는 1392년부터 1455년까지 약 200척이 태안 안흥량 일대에서 침몰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지난달 누리안호 크레인을 이용해 건져올린 마도 4호선 부재들은 인접한 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탈염(소금기를 뺌) 작업 중이다. 3~4년 후엔 경화 처리와 건조 처리를 거치는데 각각 수년씩 걸린다. 연구소 측은 “조선시대 유일한 선박 실물인만큼 약 15년 후 선체 복원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침몰 고선박은 대부분 생산 후 바로 이동된 ‘신상’ 물자를 싣고 있는데다 뱃사람의 일상 등 당대 생활상을 생생히 드러낸다는 점에서 ‘바다의 타임캡슐’로 불린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해저에서 발견된 고선박은 총 15척이다. 중국 선박 2척(신안선·진도선)과 통일신라 1척(영흥도선), 조선 1척(마도 4호선)을 제외한 11척이 고려 선박이다.

bt04214a57f1b4a41c6107bfd529576904.jpg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은 태안 마도 해역 수중발굴조사 현황도. 사진 국가유산청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3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