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작전명 '브레이킹 체인스'…韓주도 글로벌 공조작전회의 개최
-
1회 연결
본문

캄보디아 당국의 범죄단지 단속으로 적발돼 구금됐던 한국인들이 지난달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다. 이번 송환 대상자들은 이른바 '웬치'로 불리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에서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 스캠(사기) 등 범죄에 가담한 혐의를 받고 있다. 뉴스1
경찰청은 11일 미국·중국·일본·캄보디아 등 16개국과 초국가 범죄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공조 작전회의'를 개최했다.
이날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리는 회의는 대한민국 경찰청이 주도하는 초국가 스캠·인신매매 대응 공동작전 'Breaking Chains'(브레이킹 체인스·사슬 끊기)의 첫 대면회의다. 작전명은 스캠센터·인신매매·온라인 사기 등 초국가 범죄로부터 피해자들을 범죄의 사슬로부터 해방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경찰청은 설명했다.
회의 참여국은 한국·라오스·말레이시아·미국·브루나이·베트남·영국·인도네시아·일본·중국·캄보디아·캐나다·태국·필리핀·호주·아랍에미리트(UAE) 등 16개국이다.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아세아나폴(아세안 경찰 협력체), 유엔 마약범죄사무소(UNODC) 등 3개 국제기구도 공조에 나선다.
회의에서는 각국이 선정한 스캠·사이버 등 조직범죄 사건 24건 관련 추적 단서 75건에 대한 자료를 교환하고, 피의자 검거·송환 등 공조 방안을 협의했다. 특히 증거가 충분히 확보된 스캠조직 관련 사건 8건에 대해서는 피의자 검거 및 피해자 구출을 위한 공동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찰청은 스캠 범죄 피의자가 다른 지역으로 도피하는 이른바 '풍선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도피사범 추적 작전'(INFRA-SEAF·인프라-시프)을 연계해 합동 대응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작전은 한국이 인터폴에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터폴은 한국 경찰관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 10월 베트남-캄보디아 국경 일대에서 합동작전을 실시해 스캠 단지 관련 피의자를 추적하기도 했다. 이달 중에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 내 주요 국경 지역에서 작전을 계획 중이라고 경찰청은 밝혔다. 이러한 공조 작전을 통해 스캠 조직 이동 통로를 차단하고 각국 출입국 정보를 실시간 연계해 현장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재영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이번 글로벌 공조 작전회의는 국제사회가 초국가 스캠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의 틀을 실행 단계로 옮기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대한민국 경찰은 각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스캠 범죄 단지 근절의 실질적 진전을 이끌고 피해자 보호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