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끝에서 돌아본 인생이 진짜...노인들도 욕망과 꿈이 있어요"

본문

bt3996c9ecb27b7eaee75f9a81c7289edc.jpg

영화 '사람과 고기'의 주연 배우 박근형(왼쪽)과 장용. 영화에서 둘은 폐지 줍는 노인을 연기했다. 정현목 기자

"재미있게 찍었는데 이렇게까지 떠들썩한 영화가 될 줄 몰랐지."
영화 '사람과 고기'(지난달 7일 개봉)의 주연 배우 박근형(85)의 말에 또 다른 주연 장용(80)이 맞장구를 쳤다.

영화 '사람과 고기' 박근형·장용 인터뷰

"촬영할 때 고기 뒤집는 타이밍을 놓쳐 과자 같은 삼겹살 엄청 먹었어. 하하."

뉴욕타임스가 '올해의 유쾌한 발견'이라 극찬한 '사람과 고기'는 가난하고 쓸쓸한 노년의 삶을 유쾌하면서 따뜻하게 그린 독립 영화다. 호평과 입소문 속에 장기 상영하며 관객 수 3만 명을 향해 가고 있다.

"오랫동안 잊지 못할 영화 한 편을 봤다"는 심재명 명필름 대표와 장항준 감독, 가수 윤상·양희은, 배우 최강희·유태오 등이 후원상영회를 열고, 기업까지 동참하는 등 응원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btdbbe3931d28b86f0a699e5cb6a2115aa.jpg

영화 '사람과 고기'의 형준(박근형), 우식(장용), 화진(예수정)은 우연한 계기로 만나 무전취식이란 모험이자 일탈을 저지른다. 사진 트리플픽쳐스

bte44df01779b22d1fd659c2e9adea3fa5.jpg

영화 '사람과 고기'의 형준(박근형), 우식(장용), 화진(예수정)은 우연한 계기로 만나 무전취식이란 모험이자 일탈을 저지른다. 사진 트리플픽쳐스

폐지를 주우며 근근이 살아가는 형준(박근형)과 우식(장용), 길거리에서 채소를 파는 화진(예수정)이 영화의 주인공이다. 우연히 만난 세 독거 노인은 형준의 집에서 소고기 뭇국을 끓여 먹으며 친해진다. 오랜만에 접한 고기 맛은 이들을 무전취식의 유혹에 빠지게 하고,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는 짜릿함이 죄책감과 불안을 압도한다.

지난 8일 서울 씨네큐브 광화문에서 만난 두 배우는 "내 얘기이자, 노인들 얘기이기 때문에 작품을 선택했다"고 입을 모았다. 박근형은 "평소 하고 싶던 얘기를 다 토해낸 것 같아 속이 시원하다"고 말했다.

"'서러운 노인네들 좀 봐주쇼' 하며 서글픈 감정을 강요하는 게 아니라, 노인들도 젊을 때부터 유지해오던 삶의 욕망과 꿈이 있다는 걸 담백하게 보여준 영화죠. 망사 조끼를 입히려 하길래, '내가 쌀장수냐'며 예쁜 캐릭터 셔츠를 입고 찍었습니다."

박근형과 55년 막역한 사이로, 오랜만에 영화에 출연한 장용은 "시나리오에 '비쩍 마른 우식'으로 돼 있어 난 안되겠구나 했는데, 감독이 '살은 쪘어도 병색이 완연한 우식'으로 바꿔 놓았다"며 "분장을 근형 선배보다 더 시커멓게 했다"고 돌이켰다.

bt0dfa6a87c1a3dbfd3535b14b71876ad4.jpg

영화 '사람과 고기'에서 무전취식을 한 뒤 도망치는 형준(박근형, 왼쪽)과 우식(장용). 사진 트리플픽쳐스

셋이 만나는 계기가 고기인 건 "돈 있어야 먹을 수 있고 혼자 먹기엔 서러운 음식"(양종현 감독)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양심의 가책을 줄이기 위해 장사가 잘되는 식당에서 1인분 씩만 먹고 비싼 고기는 주문하지 않는다.

두 배우는 무전취식 설정이 꺼림칙했지만, "노년의 삶, 인간 관계 등 본격적인 얘기를 하기 위한 빌미"라는 생각에, "국민학교(초등학교) 때 가게에서 과자 훔쳐 먹고 튄 것"(박근형), "참외·수박 서리하던 어린 시절"(장용)을 떠올리며 연기했다고 했다.

영화의 한 장면. 스스로 곡기를 끊어 생을 마감하는 친구의 임종을 지키는 형준이 "너 오늘 안 죽으면 나 내일도 여기 있어야 되냐?"고 묻자, 친구는 "거기까지는 생각을 못했네"라며 쓸쓸히 웃는다. 박근형은 "상상을 초월하는 대사로, 연기하면서 만감이 교차했다"며 "죽음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된 장면"이라고 말했다.

bte5dda8d13375b0c99cfb54b3d670a510.jpg

영화 '사람과 고기'의 주인공 형준(박근형)은 폐지를 주워 팔아 근근이 생계를 유지한다. 사진 트리플픽쳐스

bt73f6b3753da826bcd2e498e03e40d240.jpg

영화 '사람과 고기'의 주인공 우식(장용)은 폐지를 주워 팔아 근근이 생계를 유지한다. 사진 트리플픽쳐스

"집만 있고 수입 없고 자식 놈들은 싸가지가 없어. 됐지?"(형준), "다 늙어서, 세상이 원하는 대로 조용히 찌그러져 있다가 조용히 죽으라고?"(화진) 둘은 노인들의 폐부를 찌르는 직설적이고 함축적인 대사들이 영화의 묘미라면서 "웃고 나서 뒤돌아서면 슬퍼진다"고 했다.

더 이상 무전취식하지 말자고 말리는 형준과 화진에게 우식은 묻는다. "살면서 이렇게 가슴 뛰어본 적 있어?"라고. 두 배우는 이 대사의 울림이 크다고 입을 모았다.

"셋이 처음으로 돈 내고 고기 먹을 때 우식이 '별 볼 일 없는 인생이었지만, 둘과 함께 고기 먹으러 다닐 때가 제일 좋았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울컥 했어요. 노인들의 가슴은 여전히 뛰고 있고, 계속 뛰어야 한다고 생각해요."(장용)

노인 빈곤율 1위(OECD 회원국 기준), 늙음을 '천형'(天刑)처럼 여기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영화가 묻는 건 '노인들이 존엄한 삶을 살고 있는가'다.

"폐지 줍는 노인들이 어떤 일상을 보낼까, 관객들이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단칸방에 돌아가 혼자 밥을 먹고 쓸쓸히 잠들겠죠. 폐지 줍던 형준이 게이트볼 치는 노인들을 부럽게 바라보는 장면이 있는데, 노인들이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 건지 사회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박근형)

btc480afed1d795eba711d2e4bd9afe9a1.jpg

영화 '사람과 고기'의 주인공 형준(박근형, 오른쪽)과 우식(장용)은 폐지를 주워 팔아 생계를 유지한다. 사진 트리플픽쳐스

장용은 노인들 스스로도 생각을 바꾸고 세상의 변화에 발맞추려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 주인공이 키오스크 주문법을 몰라 슬그머니 식당을 떠나는 장면을 언급하면서다.

"'너 늙어봤냐? 난 젊어봤다' '내가 살아봐서 아는데' 식으로 살아선 안돼요. 열심히 배워서 젊은 세대와 소통하려는 노력을 해야죠. 젊은이들도 평생 안 늙을 것처럼 살지 말고 평소에 늙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영화 말미에는 시인이었던 우식이 남긴 시를 형준이 화진에게 읽어주는 장면이 나온다. 시 제목은 '청춘'이다. 두 배우에게 '청춘'의 의미를 물었다.

"가슴 뛰고 설레지만 나이 먹어 돌아보면 허접쓰레기 같은 거죠. 진짜 삶은 나이 먹고부터입니다. 형준의 대사처럼 '끝에서 돌아본 인생이 진짜'예요. 하고 싶은 건 많은데 시간이 없어서 더 치열하게 무대에 오릅니다."(박근형)

장용은 청춘이 특정 연령대의 전유물이 아니라며, 우식의 시 '청춘'을 읊었다.

"목청껏 웃고 싶어서 목 놓아 울어본다. 살기도 귀찮고 죽기도 귀찮다…가슴 속에 할 말이 너무 많아 배고픔도 잊어버린다…시린 가슴 덮혀지게 불이나 질러볼까. 눈 떠보니 아침, 햇살은 공평하다."

이어 즉석에서 덧붙인 "공평하지 않은 건 상영관이다"라는 말에 주변이 웃음 바다가 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6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