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0년 이상 공회전 용산국제업무지구, 27일 첫삽

본문

bt46fd5d8ac72aadb194eb9034596ef732.jpg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달 27일 착공식을 한다. 사진은 조감도. 사진 서울시

10년간 공회전했던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오는 27일 첫 삽을 뜬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 한복판의 마지막 유휴 부지인 옛 용산정비창 45만6100㎡를 활용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용산 일대의 입지적 강점을 살려 용산정비창을 서울역∼용산역∼한강 변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복합수직도시’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우선 도로·공원·주차장 등 부지조성 공사를 오는 2028년까지 완료하고 이르면 2030년 기업과 주민 입주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사업시행자는 코레일과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다. 둘의 부지 지분율은 7 대 3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의 공익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려 두 공공기관을 사업시행자로 정했다”고 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크게 국제업무와 업무복합, 업무지원 3개 구역으로 이뤄진다. 이중 해당 지구 성장의 핵심축이 될 국제업무구역의 경우 기존 용도를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해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8만2938㎡ 규모로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100층 이상 초고층 빌딩군이 들어설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기업 유치전에도 나선다.

bt0441cf44b8f8c19545b4f297e9258af5.jpg

지난해 11월 열린 용산국제업무지구 부지 공동 협약식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는 일반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신속한 주택공급에도 힘쓸 방침이다. 2027년 말쯤 주택 분양이 이뤄질 수 있도록 내년 상반기 중 ‘조성토지공급계획’ 승인을 마무리하고 토지 분양 이후에는 건축 인허가 절차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안팎에 모두 1만3000호의 공급 계획이 세워진 바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택지 부족에 따른 주택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1만3000호 외에 ‘+알파’ 물량을 더 확보할 수 있을지 검토에 들어간다.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국토교통부, 서울시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확대 물량을 결정지을 계획이다.

최근 정부와 여권 안에서는 용산정비창 부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구체적으로 2만호라는 ‘수치’가 언급되기도 했다. 2만호를 지으려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을 다 뜯어고쳐야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개발계획을 전면 재수립할 경우 사전 행정절차 이행 등으로 최소 2년 이상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할 때 기반시설 계획까지 전면 수정해 주택 물량을 늘리는 것보다는 신속한 주택공급을 도모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국제업무지구가 계획대로 만들어지면, 연간 3조3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서울의 미래 100년을 여는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라며 “단순한 개발이 아닌 기술과 문화, 사람 중심의 새로운 도시문화를 만들어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5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