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G20서 日지도자 만날 일 없다"…중국, 연일 일본에 초강수 압박

본문

btec44e40afc15f44f7c3c00dacea1e62d.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달 31일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17일 중국 외교부가 일본과 정상급 회담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다. 지난 7일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한 중국의 강경 대응 차원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주일본 중국대사를 소환해 공식 외교채널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22~23일 남아공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 정상회의 기간)리창 총리가 일본 지도자와 회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마오 대변인은 또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관련 잘못된 발언은 중·일 4개 정치문서 정신을 심각하게 위반하며 중일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뿌리부터 훼손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어떤 정당이나 인물이 집권하더라도 대만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약속(承諾)을 지키고 준수해야 한다”며 발언 철회를 촉구했다.

중국 관영매체는 이날 일본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영자지 차이나 데일리는 지난 15일 “류큐(琉球·오키나와의 옛 이름)는 일본이 아니다”라는 현지인 인터뷰를 보도했다. 신문은 “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을 지키기 위해 오키나와를 희생하려 했고 그 결과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며 “오늘 다카이치의 과격한 입장에 대부분의 오키나와 주민이 우려한다”고 주장했다.

국수주의 성향의 환구시보는 17일 1면 머리기사로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발언을 비난했다. 특히 마쓰시마 야스카쓰(松島泰勝) 류코쿠(龍谷)대학교수를 인용해 “다카이치 총리는 중국 내정을 간섭하는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고, 중국 정부에 사과하고 총리 직무에서 사직해야 한다”며 압박의 강도를 높였다.

집권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일본이 군국주의를 되살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목소리’를 의미하는 국제 칼럼 종성(鐘聲)은 17일 “다카이치 사나에(총리)의 대만 관련 잘못된 논리는 군국주의를 위한 초혼(招魂)과 같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통일 대업을 개입·저지하려는 모든 계략은 당비당거(螳臂當車·사마귀가 팔로 수레를 막겠다는 행동)이며 주제넘은 짓”이라고도 했다.

마이클 라일리 전 대만주재 영국대표는 중국이 본부와 협의를 내세워 우장하오 주일 중국대사를 본국으로 소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닛케이 아시아는 16일 라일리 대표와 인터뷰를 싣고 1990년대 프랑스가 미라주 전투기를 대만에 판매했을 때 광저우 프랑스 총영사관을 폐쇄했다면서 중국은 극적인 행동을 통해 상황을 악화시키는데 능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본은 중국에 정상적인 인적 교류를 촉구하면서 외교적 해법 모색에 나섰다. 이날 일본 외무성의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 담당자와 접촉에 들어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39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