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엔 안보리 ‘트럼프 가자 평화구상’ 지지…“트럼프·유엔 윈윈”
-
4회 연결
본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EPA=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한다고 결의했다. 가자지구 재건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수장인 과도기구와 유엔 회원국으로 구성된 다국적군의 가자지구 내 활동을 허용하는 것이 골자다. 자신의 구상에 유엔이 공식적으로 법적 권한을 부여한 만큼, 트럼프 대통령에게 큰 외교적 승리란 평가가 나온다.
안보리는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 지지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15개 이사국 중 비상임 이사국인 한국을 포함한 13개국이 찬성했다. 안보리 결의안은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의 찬성을 얻고 5개 상임이사국(미·중·러·영·프) 중 한 나라도 거부하지 않아야 한다.
상임이사국 중 미국·영국·프랑스는 찬성했고, 중국과 러시아는 거부권 행사 대신 기권을 택했다. 아랍 및 무슬림 국가의 지지를 의식한 행동이란 해석이 나온다. 지난 14일 카타르·이집트·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아라비아·튀르키예·인도네시아 등 주요 무슬림 국가는 미국의 가자지구 평화구상 안보리 결의 제안에 지지 입장을 내놨다.

지난달 13일 이집트 샤름엘셰이크에서 열린 가자 국제 평화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이 회의에 참석한 주요 정상들 앞에서 미소짓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날 가결된 결의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월 29일 제시한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고, 분쟁 당사자들이 휴전 유지를 포함해 평화구상을 전면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핵심은 가자지구에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BoP)를 설립하고 ‘임시 국제안정화군’(ISF)을 주둔하는 것이다.
안보리는 BoP에 행정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가자지구 재건 및 경제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가자지구 내 공공 서비스 및 인도적 구호의 조정 및 지원 업무도 맡게 된다. 미국은 앞서 BoP 수장을 트럼프 대통령이 맡는다고 밝혔다.

신재민 기자
안보리는 또 유엔 회원국으로 구성된 ISF의 임무에 가자지구 내 안보 유지는 물론 ‘비국가 무장 그룹의 영구적인 무장해제’를 임무로 명시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무장을 해제하는 역할을 부여한 것이다.
향후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 인정 가능성도 언급됐다. 결의안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개혁 프로그램이 충실히 시행되고 가자지구 재건이 진전된 후, 팔레스타인의 자결권과 국가 지위에 도달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경로를 위한 조건이 마침내 갖춰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안보리 결의는 국제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진다. 마이크 월츠 주유엔 미국 대사는 결의안 표결 전 연설에서 “가자지구는 지상의 지옥”이라며 결의안 사본을 들어 “생명줄”이라고 표현했다. 결의안이 통과되자 “이스라엘인, 팔레스타인인, 그리고 이 지역 모든 사람을 위한 새로운 길을 함께 개척해 주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마이크 월츠 주유엔 미국 대사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도 표결 직후 트루스소셜에 “유엔 안보리가 BoP를 인정하고 지지하는 놀라운 투표를 한 것을 축하한다”며 “이 위원회는 제가 의장을 맡고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존경받는 지도자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 분쟁 방지 기구인 국제위기그룹의 리처드 고완 유엔 담당 국장은 NYT에 “(결의안 통과는) 윈-윈(win-win)”이라며 “트럼프에겐 외교적 승리이고, 유엔으로서도 (트럼프가) 유엔의 중요성을 인정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결의안은 통과됐지만 갈 길은 멀다. 가자지구에선 이스라엘의 공습과 하마스의 무력 행동이 여전하다. 서안지구 에서도 폭력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당장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하마스 측은 각각 결의안에 담긴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인정 시도와 영구적 무장해제 관련 내용에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NYT는 “BoP 위원과 ISF의 지휘를 누가 맡을 것인지 등을 정하는 것이 향후 과제”라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