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관영지 "한국, 핵잠으로 위험에 빠질 수 있어" 우회 경고

본문

btf414bf2d6ddf505dcea018615e496d87.jpg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은 지난 14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핵추진잠수함(핵잠) 건조 추진을 공식화한 것에 대해 ″그 잠수함이 중국을 억제하는 데 활용되리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이라고 말했다. 사진 국방부 기자단

중국 관영매체가 한국의 핵추진잠수함(핵잠) 건조 추진 계획에 대해 “한국을 더 위험한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17일 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최근 한국을 찾은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의 발언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커들 총장은 한국의 핵잠이 “중국을 억제하는 데 활용되리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이라고 말한 바 있다.

최근 한중관계가 개선되는 분위기 속 중국은 원론적 입장을 표명해왔다. 이번에도 직접 대응하기보다는 관영 매체를 통해 우회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타임스는“전문가들은 이러한 주장이 인도·태평양 전략에 한국을 더 깊이 끌어들이려는 미국의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한국을 갈수록 더 위험한 처지에 빠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뤼차오 랴오닝대 미국·동아시아연구원장은 “한국이 핵잠에 대해 북한에 대한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미국은 중국에 대응하거나 역외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부로 공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며 “양측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뤼 원장은 현실은 미국의 입장에 가깝다고 봤다. 그는 “북한에 대한 방어가 목표라면 한국은 핵잠수함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의 군사적 균형을 와해하는 핵잠은 한국을 고조된 갈등과 위험에 노출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다즈강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원 동북아연구소장은 “한국의 핵잠이 궁극적으로 미국의 중국 억제 전략에 부합한다면 중한 관계에 중대한 불확실성과 부정적 영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동북아에서 군비 경쟁을 촉발해 일본이나 북한이 유사한 능력을 추구하게 하고 핵확산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한국의 핵잠 도입 계획과 관련해 “비확산 의무를 이행하고 신중하게 사안을 다루길 바란다”며 원칙적 입장을 밝혀왔다. 최근 한중관계가 회복하는 국면이고 일본과는 대만 문제로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커들 총장의 발언과 관련한 질문에 “중국은 관련 사안에 여러 차례 입장을 표명했으며 한국과 미국이 관련 사안을 신중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 김정은, 한미 팩트시트 아팠다…韓핵잠∙北비핵화 명시에 강력 반발

  • 폼페이오 “韓에 핵잠 필요…김정은 악랄, 북핵 中서 해결해야”

  • 외교부 “핵잠 운용, 특정국 대상 아니다”…中 반발 차단 나서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3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