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김환기 전면점화, 뉴욕서 151억원에 판매…한국 미술품 경매가 역대 2위

본문

bt34b71208778b10331334e45d0ebddb19.jpg

17일(현지시각) 뉴욕 크리스티 이브닝 세일에서 약 151억원에 판매된 김환기의 1971년작 청색점화 '19-VI-71 #206'. 사진 CHRISTIE’S

김환기(1913~74)의 청색점화가 뉴욕에서 한국 미술품 경매 사상 두 번째로 비싼 가격에 판매됐다. 1971년작 ‘19-VI-71 #206’이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크리스티 경매소에서 열린 ‘20세기 이브닝 세일’에서 840만 달러(약 123억1600만원)에 낙찰됐다. 추정가(약 110억~146억6000만원)의 중간 수준으로 수수료를 포함한 최종 판매가는 1029만5000달러(약 151억원)이다. 이는 2019년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서 당시 환율로 153억원(이하 수수료 포함)에 판매돼 한국 미술품 경매 최고 기록을 세운 김환기의 ‘우주’(05-IV-71 #200) 뒤를 잇는 가격이다.

2019년 홍콩 경매 '우주'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가격

이브닝 세일은 경매사에서 내세우고 싶은 대작들로 구성된다. 한국 미술품이 뉴욕의 20세기 이브닝 세일에 출품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환기의 청색점화는 클로드 모네의 ‘수련’(판매가 약 667억원), 데이비드 호크니의 ‘크리스토퍼 이셔우드와 돈 바차디’(약 650억원), 마르크 샤갈의 ‘다윗왕의 노래’(389억원) 등과 함께 경매됐다. 같은 경매에 출품된 이우환의 ‘바람으로부터’(1986)도 152만4000달러(약 22억원)에 판매됐다.

‘19-VI-71 #206’은 가로 254㎝, 세로 203㎝ 대작으로 화면에 푸른 점들이 방사성으로 확산하며 팽창하는 듯한 공간감을 표현했다. ‘우주’와 같은 해 작품이다. 점화 형식을 확립한 이 시기 작품 중 200호(259.1×193.9㎝) 이상은 30점 이내로 추정되기에 희소성이 높다는 게 크리스티 측 설명이다.

김환기는 1963년 제7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한국 대표로 참가, 명예상을 받는다. 한국 미술가의 첫 국제전 수상이다. 그길로 뉴욕에 눌러앉아 본격적인 추상 실험에 들어갔다. 1965년에는 특별전 형식으로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14점을 출품한다. 그러나 전시 후 반송된 작품의 운송비를 낼 형편이 못 돼 2년간 뉴욕항 세관 물류 창고에 억류된 끝에 경매됐다. 이런 수모 끝에 자기만의 형식을 완성한 뉴욕 시기였기에 이번 이브닝 세일이 의미가 있다.

권근영 기자의 김환기 관련 기사

  • “택이 아빠, 김환기를 사이소” 은마 대신 그의 점화 샀다면?

  • 매일 ‘점’ 찍던 185㎝ 사내…“우습겠지만” 아내에 한 고백

  • 상파울루에 간 김환기는 왜 돌아오지 않았나…사후 51년 만에 고틀리브와 전시

  • [권근영의 아는 그림] 김창열의 물방울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3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