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외교부 “日총리가 中 공분 야기…일본산 수산물 들어와도 시장 없다”

본문

btdab67e005545318704e16fba5a3786fb.jpg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연합뉴스

중국 외교부가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개입’ 시사 발언이 중국 내 강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며, 이것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의 배경이라고 강조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은 중국에 수출하는 수산물에 대해 모니터링 책임을 이행하고 품질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현재 약속한 기술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중국 수입의 전제 조건”이라며 일본의 책임 미이행을 문제 삼았다.

마오 대변인은 이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중단 조치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으로 인한 중국 여론 악화와 관련이 있음을 더욱 강조했다.

그는 “다카이치 수상이 대만 문제에서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잘못된 발언을 해 중국 민중의 강렬한 공분을 샀다”며 “이런 상황에서 일본산 수산물이 중국에 들어온다 해도 시장이 있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중국은 일본이 2023년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방류한 이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으며, 일본의 지속적 요구에 따라 이달 5일부터 제한적으로 수입을 재개했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즉시 수입 제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고, 약 보름 만에 다시 수입을 중단하면서 이번에는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유사시 집단적 자위권 행사 가능’ 발언을 직접 문제 삼았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에서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의 존립위기 사태가 될 수 있다”고 발언해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렀다. 중국은 외교부·국방부·관영매체 등을 총동원해 연일 강경 비난을 이어가는 한편,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유학 자제를 권고하는 등 실질적 압박 조치를 동원하고 있다.

마오 대변인은 이날도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다. 그는 “유엔 헌장의 집단적 자위권은 국제 사회의 안보를 위해 마련된 것이며, 일본은 2차대전 후 이 권리 행사가 제한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역사를 돌아보면 일본은 ‘존망 위기’와 ‘자위’를 명분으로 침략을 정당화한 바 있다”며 다카이치 총리를 겨냥한 비판을 이어갔다.

마오 대변인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은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훼손한 것”이라며 “일본이 발언을 철회하고 실제 행동으로 관계 기초를 지키지 않는다면 중국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