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여행 취소에 생돈 날려"…中·日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졌다, 뭔일
-
5회 연결
본문
중·일 외교 갈등에 중국 국유기업과 공공부문 직원들이 애꿎은 피해를 입고 있다. 회사가 직원들의 사적인 일본행 휴가를 갑자기 막아버렸기 때문이다.

중국이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을 자제하도록 권고하면서 국적 항공사에 수수료 없이 항공편 취소를 지시했다. 사진은 지난 2016년 도쿄를 여행 중인 중국인 관광객. AP=연합뉴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9일(현지시간) “최근 회사에서 일본 여행을 취소하라는 지시가 떨어졌다”는 익명제보가 중국 국유기업·공공기관 직원들로부터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중국 도시 우한의 한 국유기업에서 일하는 엔지니어 A씨는 18일 회사 행정부서로부터 “다음 달 예정된 일본 오사카 휴가 일정을 취소하라”는 전화를 받았다. 그는 “해외여행은 회사 허가가 있어야만 가능해 지난달 이미 휴가 승인을 받아 비행기와 호텔까지 다 예약해 둔 상태였다”며 “하지만 최근 긴장이 높아지면서 여행을 통째로 접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SCMP에 말했다. A씨의 경우 비자 수수료만 제외하고 항공·숙박비 전액을 환불받을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생돈을 날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SCMP는 소개했다. 베이징의 한 국립 병원에서 일하는 남성 간호사 B씨가 그런 사례다. 이달 초 일본 주말여행을 회사에 신청한 B씨는 중국 정부가 일본 여행 경보를 발령한 뒤 상사로부터 “경보를 근거로 여행을 자제해야 한다”는 이유로 불허 통보를 받았다. 여행 날짜가 임박한 탓에 B씨는 온라인 여행사 사이트에서 예약한 항공과 숙박 비용 6000위안(약 84만원) 대부분을 환불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월급이 4000위안(약 78만원)을 조금 넘는 수준이라 나에겐 굉장히 뼈아프다”고 SCMP에 토로했다.
일본여행을 놓고 회사와 신경전을 벌이는 직원도 있다. 베이징의 한 국유 연구소 직원 C씨는 “한 달 전 연차를 일본에서 보내려 계획하고 승인 절차를 밟았지만 회사가 결재 서류에 도장을 찍지 않고 있다”며 “100% 안 된다고 못 박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가지 말라는 뜻 아니냐”라고 말했다.
여행·항공업계도 즉각적인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SCMP는 교도통신 등 일본 매체를 인용해 “중국 주요 여행사 여러 곳이 일본행 패키지 판매를 중단했다”며 “중국 항공사 최소 7곳은 연말까지 일본행 항공권 예약에 대해 전액 환불을 해줄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또 SCMP에 따르면 중국 항공 시장을 분석해온 한 항공 애널리스트는 “17일 기준 중국 항공사들이 접수한 일본행 항공편 취소 건수는 약 49만1000건으로 중국 항공사들이 보유한 일본행 전체 예약의 약 32%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 개별 취소까지 고려하면 실제 영향은 더 클 수 있다고 한다.
일본 관광업계는 ‘엔저 특수’를 등에 업고 호황을 누리던 시기 예상 밖의 악재를 맞이했다. 일본정부관광국(JNTO) 자료를 보면 올해 1~8월 일본을 찾은 중국인 방문객은 670만 명을 넘어 지난해 같은 기간 460만 명보다 크게 늘었다. 중국은 올해 1~3분기 일본 최다 방일 관광객 국가이기도 하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