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 한중일 문화장관회의 취소…"3국 협력 기반 훼손"
-
6회 연결
본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연합뉴스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대만 유사시 일본의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뒤 중국·일본 간 갈등이 격화하면서, 이달 예정돼 있던 한중일 문화장관회의가 전격 취소됐다. 중국은 이번 결정이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과 직결된 조치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일 중국 문화여유부가 오는 24일 마카오에서 열릴 예정이던 "2025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잠정 연기한다고 18일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는 2007년부터 매년 3국이 돌아가며 개최해온 고위급 교류 협력 플랫폼이다.
중국은 연기 사유를 한국 측에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 외교부는 브리핑에서 일본 총리 발언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못 박았다.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은 "일본 지도자가 극도로 잘못된 대만 관련 발언으로 중국 인민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전후 국제 질서에 도전했다"며 "3국 협력의 기반과 분위기를 훼손했고, 관련 회의를 개최할 조건이 잠시 갖춰지지 못하게 됐다"고 말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가 될 수 있다"고 공식 언급했다. 이후 중국은 외교·국방 채널과 관영매체를 통해 연일 강경 비난을 이어가고, 일본 국민 대상 여행·유학 자제령, 일본 영화 상영 중단 등 사실상의 제재 조치를 연달아 시행하고 있다.
최근 재개된 일본산 수산물 수입 역시 이달 들어 다시 중단하기로 하면서 일본 경제를 정면 겨냥한 압박도 강화했다. 외교적 긴장도 고조돼 중국 외교부 간부가 일본 외무성 국장과의 회담에서 무례한 자세로 대하는 장면을 고의적으로 노출하는 등 외교적 메시지도 강해지고 있다.
중일 갈등이 한중일 3국 협력 체계까지 흔들면서, 일본이 개최를 추진해온 한중일 정상회의를 포함해 다양한 3자 대화 역시 당분간 개최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