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고 2가 치를 2026학년도 의대 입시, 지역인재 2238명 뽑는다

본문

17145516492793.jpg

29일 오후 강원대학교 교무회의실에서 의대 정원 증원을 포함한 2025학년도 입학정원 확정을 위한 학칙 개정 교무회의가 열린 가운데 회의실 앞 복도에서 교수들과 전공의, 학생들이 '의대 증원 학칙 개정 반대' 항의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금 고교 2학년이 치를 2026학년도 대입에서 의대 정원이 2000명 증원되며 지역인재전형 모집인원도 전년 대비 2배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대학이 있는 권역 소재 고등학교를 3년 간 다닌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종로학원은 1일 ‘비수도권 의대 26곳의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분석한 결과, 전체 정원 3542명 중 2238명(63.2%)을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각 대학은 ‘대입 정책 4년 예고제’가 명시된 고등교육법에 따라 입학 연도의 1년 10개월 전까지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공표해야 한다. 전형계획에는 모집 단위별 모집인원, 지원 자격,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등이 포함된다.

17145516494312.jpg

김주원 기자

이번 2026학년도 대입 계획에는 정부가 당초 발표한 의대 2000명 증원 계획이 반영됐다. 정부는 의정 갈등이 계속됨에 따라 현 고 3이 치르는 2025학년도 입시에 한해 의대 증원분을 최대 50%까지 줄여서 선발할 수 있도록 했지만, 2026학년도는 원안을 유지한다고 했다.

지난해 4월 말 각 대학이 발표한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의 지역인재 정원은 1071명이었다. 이후 정부가 올해 대입부터 지역인재 선발 비율을 현행 40%에서 60%로 늘리고, 의대 정원도 2000명 더 늘리겠다고 발표하면서 지역인재 정원도 대폭 늘어난 것이다.

원광대·전남대는 전체 80%를 지역인재로

전체 모집인원의 80%를 지역인재 전형으로 선발하는 곳도 나왔다. 전남대는 200명 중 160명(80.0%), 원광대는 150명 중 120명(80.0%)을 각각 지역인재로 할당했다. 뒤이어 부산대 75.5%(200명 중 151명), 경상국립대 73.5%(200명 중 147명), 조선대 70.0%(150명 중 105명), 동아대 70.0%(100명 중 70명) 순으로 지역인재 비율이 높았다.

17145516495831.jpg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 등장한 의학계열 전문 입시학원. 중앙포토

지역인재 선발 인원이 늘며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입시 전략도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앞으로 지방 학생의 의대 진학이 특히 더 유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종로학원이 지난 3월 27~28일 학부모 14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지역인재 전형 확대로 인해 앞으로 서울수도권 학생의 비수도권으로 이동이 많아질 것 같은가’라는 질문에 75.5%가 “그렇다”고 답했다.

올해 의대 입시도 지역인재 늘 듯

당장 올해 고 3 학생이 치르는 2025학년도 입시에서도 의대 지역인재 인원이 늘어날 전망이다. 증원 규모는 각 대학이 줄이더라도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60%까지 늘리겠다는 정부 방침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4500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2006년부터 동결된 기존 정원 3058명에 증원된 1500여명이 합쳐진 결과다. 증원 대상인 의대 30여곳은 1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안을 제출했으나 아직 공표되지는 않았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이달 말까지 변경안을 심의해 각 대학이 모집요강을 확정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03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