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언론 “한·일·중 정상회의서 상호 투자 확대 논의…공동성명 추진”

본문

오는 26~27일 개최가 예상되는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3국 간 상호 투자확대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안전 보장’ 문제에 대해선 각국이 입장을 달리하지만 경제 분야에선 자유무역, 상호 투자 확대 등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4년 반 만에 얼굴 맞대는 한·중·일 정상 

17162691503089.jpg

윤석열(오른쪽)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리창(李强) 중국 국무원 총리는 서울에서 4년 반 만에 정상회담을 갖고 상호 투자 기회 확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매체는 이번 한·일·중 회의에서 3국 정상은 아시아와 세계 안정을 위한 3국의 '미래 지향' 협력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2019년 12월 열린 3국 정상회의에서도 미래 지향이란 문구를 사용한 바 있다. 당시 3국 정상은 "역사를 뛰어넘어, 젊은 세대 교류를 활발히 하면서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자"고 밝혔다. 닛케이는 이번 정상회의에선 앞서 밝혔던 미래 지향이란 공감대에 ‘방향성’을 조정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자유무역, 상호 투자문 열리나

1박 2일간 일정으로 예상되는 이번 3국 정상회의에선 인적교류, 지속가능한 개발 등 6개 분야 협력 방침을 담은 공동 성명 발표도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아사히신문은 공동 성명에 자유무역 추진 등의 내용이 담길 수 있다고 보도했다.

17162691504451.jpg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인대 개막식에서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리창(오른쪽) 국무원(정부) 총리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일본 언론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는 분야 역시 경제협력 부문이다. 정상회의에 맞춰 3국의 ‘비즈니스 서밋’도 개최되는 등 그간 닫혀있던 경제 교류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닛케이는 특히 일본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대일 직접 투자액을 100조엔(약 871조원)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운 점을 부각해 전했다. 해외 투자 유치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과 한국이 ‘중요 투자 유치처’란 설명이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따르면 중국에 대한 일본의 투자는 지난해 38억2200만 달러(약 5조2230억원), 한국에 대한 일본 투자는 '마이너스' 1억4500만 달러(1981억원)다. 닛케이는 이번 회담에서 3국 정상이 자유무역 중요성에 대해서도 합의를 이룰 것이라며 “10억명 이상 인구를 가진 중국은 일본과 한국에 중요한 무역 상대국”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안보 분야 협의는 큰 진전을 이루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간 3국 정상회의에선 한반도 비핵화 논의가 이뤄졌지만 이번 회의에선 대만 문제,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한 중국의 수산물 수입 금지 등에 대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다. 닛케이는 “미국과 각각 동맹관계인 한국과 일본이 안보 면에서는 중국과 선을 그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 中·日 기업들 "한국 기업과 협력하고 싶다"…이 업종이 1순위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2,96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