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산형 늘봄’ 보낸 학부모 “사교육비 20만 원 줄어”…교육감 “내년 초3 확대”

본문

17162749800064.jpg

16일 부산 남구 연포초에서 1학년 학생들이 늘봄교실 프로그램을 듣고 있다. 교육부, 부산시교육청

학교가 학원보다 더 좋아요. 친구들이 많고, 재밌는 것도 더 많아요.

지난 16일 오후 2시 부산 남구 연포초등학교. 복도에서 만난 한 1학년 학생은 이렇게 말하며 늘봄학교 미술 교실로 발걸음을 옮겼다. 교실 안에서는 정규수업을 마치고 모인 학생들이 큰 도화지에 크레파스로 쓱쓱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아래층에선 한자 수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20여명의 초등 1~2학년 학생들이 교사의 강의에 따라 큰 소리로 ‘큰 대(大’) 자를 따라 읽으며 공책에 또박또박 눌러썼다. 몇몇 학생들은 1인당 한 대씩 받은 학습용 태블릿 PC를 보면서 한자를 공부했다. 수업을 듣는 연포초 1학년 학생은 “친구들이랑 같이 하니까 한자 공부가 재밌다”고 했다.

부산 늘봄학교, 초등 1학년 90% 이상 참여 

17162749801729.jpg

16일 부산 남구 연포초에서 1학년 학생들이 늘봄교실 프로그램을 듣고 있다. 교육부, 부산시교육청

늘봄학교는 기존 초등학교에서 제공하던 방과 후 학교와 돌봄을 확대·다양화하고 1일 2시간까지 무상으로 운영하도록 한 정책이다. 교육부는 올해 2학기까지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원하는 누구나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부산은 이미 초등학교 1학년의 90.3%가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늘봄 선도 지자체’로 꼽힌다. 시내 초등학교 304개교가 모두 늘봄학교를 시행 중이다. 연포초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 187명 중 가정돌봄을 희망하는 5명을 제외한 182명(97%)이 늘봄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늘봄학교에서는 정규 수업 이후부터 오후 4시 20분까지 기존 방과 후 학교에 해당하는 학습형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아동음악·연극·구연동화·아동체육 등 프로그램도 다양하다. 기존 돌봄에 해당하는 ‘보살핌 늘봄’까지 같이 하게 된다면 오후 7시까지 학교에 아이를 맡길 수 있다.

하윤수 교육감 “사교육도 늘봄으로…늘봄전용학교도 만들 것”

17162749803285.jpg

16일 부산 남구 연포초에서 1학년 학생들이 늘봄교실 프로그램을 듣고 있다. 교육부, 부산시교육청

이날 학교에서 만난 학부모들은 늘봄학교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조유리 씨는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할 때가 되자 직장을 그만둬야 하나 고민이 컸는데, 늘봄학교가 시행된 덕에 한 시름 놨다”고 했다. 1학년과 3학년 자녀를 둔 예남희 씨는 “첫째는 수업 후 여러 학원 차를 옮겨 타고 다니며 힘들어했고 학원비 부담도 컸는데, 둘째는 매일 2시간씩 학습형 늘봄학교를 듣고 태권도 학원에만 가면 제 퇴근 시간에 맞출 수 있다”며 “사교육비 부담도 한 달에 20만원 이상 줄었다”고 했다.

다른 지자체와 달리 부산시는 학교 교사들의 늘봄학교 참여율이 높은 편이다. 늘봄 프로그램 강사 총 766명 중 외부 강사가 615명이고, 교원은 151명이다. 모두 다 희망 교원이라고 한다. 임미경 연포초 교사는 “교사들이 전문가인 만큼 자발적으로 학생들을 위해 자기 역량을 발휘하려고 하는 분위기”라며 “그러다 보니 학부모 만족도도 높은 것 같다”고 했다.

하윤수 부산시교육감은 늘봄학교 프로그램 확장을 위해 사교육을 학내로 끌어오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그는 “발레와 같은 사교육을 공교육 안으로 들어오게 해서 학원비는 크게 낮추고 질 관리는 제대로 한다면 학생들에게 더 좋은 늘봄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까지 늘봄을 확대 적용하고 24시간 긴급보살핌이 가능한 늘봄센터와 늘봄전용학교들을 더 많이 만들겠다”며 “늘봄을 통해 저출산을 극복하고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교육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2,57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