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韓 24만명, 방 안에 날 가뒀다…외신도 주목한 '은둔형 외톨이&apos…

본문

17167608833351.jpg

CNN의 '위축된 삶, 일부 아시아 젊은이들이 세상에서 물러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 사진 CNN

한국과 일본, 홍콩 등 아시아에서 나온 '은둔형 청년'의 문제가 주요 외신에서 집중 조명됐다.

미국 CNN방송은 25일(현지시간) '위축된 삶, 일부 아시아 젊은이들이 세상에서 물러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획 기사에서 아시아에서 처음 나타난 사회 현상 중 하나인 '은둔형 청년' 문제를 주목했다.

CNN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를 인용해 2022년 기준 한국의 19세에서 34세 인구 가운데 2.4%인 24만4000명 정도가 은둔형 외톨이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허지원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는 "많은 MZ(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세대는 완벽주의 성향을 갖고 있다"면서 "이들은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이고 실패를 두려워한다. 또 도전한 결과가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으면 매우 낙담하고 불안해한다"고 분석했다.

또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주된 가족 형태가 변한 것도 요인으로 꼽혔다. 윤철경 지엘청소년연구재단 상임이사는 "과거에는 형제자매가 많아서 관계를 맺는 방법을 많이 배울 수 있었는데, 지금은 공동체적 관계 형성 경험이 적다"고 했다.

한국 외에도 인용된 일본 정부 조사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 '히키코모리'라고 불리는 은둔형 외톨이가 1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 은둔형 외톨이 청년층이 많은 이유는 생활비 상승, 임금 정체 등 광범위한 경제 문제가 반영된 문제로 파악됐다. 홍콩의 은둔형 외톨이는 최대 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은둔형 외톨이 현상이 아시아에서 처음 나타났지만, 미국, 스페인, 프랑스 등 다른 국가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예일대 연구원들은 "인터넷 사용 증가와 대면 상호작용 감소가 히키코모리의 전 세계적 확산을 주도할 수 있다"면서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더 많은 은둔자가 생겼을 수 있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05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