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난해 1인당 GNI, 사상 첫 일본 추월…"수년 내 4만 달러 달성"

본문

17175709236157.jpg

김주원 기자

지난해 1인당 국내총소득(GNI)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에선 6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 1분기(1~3월) 실질 GNI는 전 분기 대비 2.4% 늘어 8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5일 한국은행은 ‘2024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를 발표했다. 한은은 지난해 1인당 GNI가 3만6194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은이 국민계정 통계의 기준 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개편하면서 상향조정된 결과다. 한은은 최근 생산기술‧산업구조 등을 반영하기 위해 기준년을 5년마다 변경하는데, 기준년이 2015년일 때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3745달러였다.

이에 따라 지난해 1인당 GNI가 사상 처음으로 일본(3만5793달러)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5000만명이 넘는 국가 중에서는 미국‧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에 이어 여섯 번째로 높다. 1인당 GNI는 국민의 전반적인 생활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명목 GNI를 국내에 거주하는 총인구수로 나눠 계산한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일본은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통화가치가 하락하면서 1인당 GNI 순위가 한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환율이 안정된다는 전제 하에 한국은 수년 내에 4만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1분기 567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554조5000억원)에 비해 2.4% 늘었다. 2016년 1분기(2.8%) 이후 가장 높다.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실질무역손실이 –11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17조원)보다 크게 축소된 영향이다. 한은은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이 전 분기 대비 상승한 데에 반해 천연가스 등 수입품 가격이 하락해 교역조건이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17175709237506.jpg

박경민 기자

수출·건설투자 호조에 1분기 성장률 1.3%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 분기 대비 1.3%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4월 공개된 속보치와 같고, 2021년 4분기(1.6%)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건설투자가 3.3% 증가하고, 수출이 1.8% 증가한 영향이다. 한은은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부문에서 예상보다 큰 호조가 나타났다”며 “해외 공장의 성장세가 속보치 때 파악된 것보다 더 좋았다”고 분석했다.

다만 건설투자의 호조세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 최정태 부장은 “건설투자가 1분기에 예상보다 크게 반등한 건 지난해 부진했던 기저효과와 양호한 기상여건 등이 반영된 결과”라며 “향후 입주물량 감소, 착공수주 감소세 영향으로 다소 부진한 흐름이 예상된다”고 봤다. 올해 GDP 증가율 전망에 대해서는 “1분기 수준이 높았으니 2분기에는 조정이 이뤄진 뒤 3분기와 4분기에는 회복하는 흐름일 것”으로 내다봤다.

통계기준 개편에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0%대로

17175709238942.jpg

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이인규 지출국민소득팀장(왼쪽부터), 최정태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 강창구 국민소득총괄팀장, 장은종 분배국민소득반장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 및 국민계정 2020년 기준년 1차 개편 결과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한편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으로 지난해 명목 GDP도 2236조원에서 2401조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통상 기준년 개편 시에는 경제총조사 등 기초자료가 보완돼 새롭게 반영되는 경제활동 규모가 커지면서 명목 GDP가 상향 조정된다. 이에 따라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4%에서 93.5%로 내려왔다.

다만 낮아진 수치 역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국제금융협회(IIF)가 집계한 주요국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기준 미국 72.8%‧일본 64.1% 등이다. 앞서 지난해 8월 이창용 한은 총재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이 비율을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라고 언급한 바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6,60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