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푸틴 방북, 北에 냉전 이후 최대 전략적 기회…김정은과 위험한 브로맨스”

본문

17185967842499.jpg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하는 김정은. 조선중앙TV 화면=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부터 북한을 방문하는 것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에 대해 “북한에는 냉전 이후 최대 전략적 기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16일(현지시간) ‘푸틴과 김정은의 위험한 브로맨스’라는 기사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가까워진 북러 관계를 이같이 평가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연서를 주고받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2019년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퇴짜를 맞은 김정은 위원장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동력이 되어 줄 무기를 위해 환심을 얻으려는 푸틴 대통령을 새로운 ‘절친’으로 맞이했다면서, 푸틴-김정은의 브로맨스가 지정학적인 변화 덕분에 가능해졌다고 진단했다.

또 북한과 협력함으로써 러시아는 무기 생산 강국이자 미국의 우방인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직접 지원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도 노리고 있다고 매체는 평가했다.

북러가 이처럼 밀착하자 급기야 미 정가에서는 북중러가 새로운 '악의 축'을 결성했다는 논의까지 이뤄지고 있다. 70여년 전 한국 전쟁 당시 중국과 러시아의 전신인 소련은 북한 편에 서서 미국에 맞선 역사가 있기에 일각에서는 중국과 러시아의 합동 지원이 북한의 공격성을 부추길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이런 우려는 현재까지는 기우로 나타났지만, 적어도 힘센 두 나라를 지지 세력으로 두고 있는 이상 북한이 미국과 직접 상대할 별다른 유혹을 느끼지 못할 것임은 자명하다. 북한은 또한 대북 관계를 지렛대로 중국과 러시아에 동시에 영향력을 키울 수도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분석했다.

이에 대해 미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안킷 판다 선임연구원은 이를 두고 “북한에는 냉전이 끝난 이후 최대의 전략적 기회”라고 평가했다.

북러 밀착에도 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우정은 한계를 안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북한 전문가인 안드레이 안코프 국민대 교수는 “러시아와 북한의 새로운 사랑은 피상적이고, 인위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이 대가로 러시아에서 핵무기 설계도나 대륙간탄도미사일 기술 등 최첨단 군사 기술을 전수받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에게 러시아산 고급 리무진 차량을 선물할지언정, 푸틴이 핵무기나 탄도 미사일과 관련한 군사적으로 민감한 기술을 북한에 전달하지는 않았다는 게 한국 당국자들의 판단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러시아가 작년 9월 이래 북한에 보낸 컨테이너 9000개의 물량의 대부분은 식량과 연료로 채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푸틴 대통령은 실제로 무기 제작과 관련된 기술을 북한에 실제로 전달하기보다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지지를 억제하기 위해 이런 위협을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관측했다.

우크라이나전 이전에 러시아의 5번째 수출국이었던 한국은 러시아에 있어 북한보다 훨씬 더 매력적일 수밖에 없으며, 북한은 한국과의 문을 계속 열어놓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는 5선 취임식 후 지난달 베이징을 방문한 푸틴 대통령은 당초 베이징에서 바로 평양으로 이동하고 싶어 했으나 중국을 의식해 뜻을 이루지 못한 것은 중국의 이런 입장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중러 관계에 있어) 드러나고 있는 그림은 ‘전제주의 정권 간의 깔끔한 연합’(a neat authoritarian axis)이 아닌 ‘지저분한 삼각관계’(a messy love triangle)”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 푸틴·김정은 평양 만남 때, 서울선 한·중 맞손…외교 빅매치

  • 푸틴 “우크라, 군 철수·나토 가입 계획 포기하면 즉각 휴전”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02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