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4조원 '소형모듈원자로’ 대구 신공항 옆 추진…"2033년 가동 목표&#…

본문

17186089214372.jpg

한국수력원자력이 공개한 소형모듈원자로(SMR) 설비가 설치된 발전소 조감도. [사진 한국수력원자력]

대구경북 신공항 인근에 조성되는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소형원자력발전소(SMR) 건설이 추진된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27일 오전 11시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680MW(170MW*4모듈) 소형모듈원자로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는 첨단산업단지 내에 SMR 건설을 위해 부지 적합성·경제성 등 타당성 조사, SMR 상용화 노력 등 내용을 담고 있다.

17186089215926.jpg

소형모듈원자로 건설을 위해 17일 오전 대구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 대구시]

대구시에 따르면 관련 사업비는 4조원 규모로 추산되며 전액 민자로 진행한다. SMR 건설을 위한 SPC(특수목적법인)가 대구 군위군 신공항 첨단산업단지 내 에너지생산단지(50만㎡) 중 약 16만㎡ 용지를 매입해 공사를 진행한다. 대구시는 한수원, 민간 건설사와 함께 사전 타당성 조사를 2026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어 2028년 표준설계 인가를 받은 뒤 2033년 상업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다를 끼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 원전과 달리 내륙에 건설하는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MR은 한 용기에 원자로를 비롯해 주요 설비를 일체화한 설비다. 작고(Small),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Modular)해 건설할 수 있는 300㎿ 이하급 원자로(Reactor)다. 대형 원전보다 건설 기간이 짧고 비용도 적게 든다. 이 때문에 기존 원자력 발전의 단점을 보완한 차세대 기술이란 평가를 받는다.

17186089217333.jpg

소형모듈원자로 건설을 위해 17일 오전 대구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은 SMR 사업화 부지 위치도. [사진 대구시]

이번 협약은 지난달 제11차 전력기본계획안에 SMR 도입계획이 발표된 이후 구체적으로 건설이 추진되는 첫 사례다. 정부와 민간 전문가 90여명으로 구성된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위원회가 발표한 제11차 전력기본계획안에는 대형 원전 3기와 SMR 1기를 짓는 내용이 담겼다.

대구시가 SMR 건설을 추진하는 건 신공항 물류 기반을 강화하고 산단 입주 기업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다. 대구시는 신공항 첨단 산단에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을 유치해 ‘SMR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미래 반도체 캠퍼스는 국가 안보나 산업 인프라 측면에서 분산 배치할 필요가 있다"라며 "공항과 SMR을 가진 군위 첨단산단이 후방의 최적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이번 협약은 한수원의 혁신형 SMR 사업화 전략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일대 저렴하고 청정에너지 공급을 통한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대구시의 의지가 맞물려 추진됐다”라고 말했다. TK신공항은 오는 2029년 개항 목표로 군위군 소보면과 경북 의성군 비안면 일대에 들어선.

17186089218782.jpg

한국형 SMR(i-SMR) 개요, SMR(소형모듈원자로) 개발 현황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한국수력원자력]

다른 지자체도 SMR 유치에 뛰어들고 있다. 세계원자력협회가 지난해 8조5000억원 규모였던 SMR 시장이 2035년 64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는 등 SMR 시장이 천문학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면서다. 경북 경주시는 지난해 3월 SMR 국가산단 최종 후보지로 확정됐다. 2030년까지 경주 문무대왕면 일원에 150만㎡ 규모의 SMR 국가산단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경남도와 창원시도 SMR 시장에 뛰어들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경남도와 창원시를 SMR 로봇활용 제작지원센터 구축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는 SMR 상용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확보가 어려운 중소·중견 원전업체의 첨단 제조공정 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SMR 개발에서 가장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미국도 상용화에 성공한 기업이 없다. 반대로 아직 SMR 상용화에 성공한 국가가 없어 시장 점유 가능성도 열려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범진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전 세계 90개 SMR 개발 업체가 서로 경쟁하고 있고 그 중 어느 곳이 이길지 모른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걷기 위한 리더십과 국민 지원”이라고 말했다.

17186089220459.jpg

[중앙포토]

대구에서는 SMR 유치 반대 목소리도 있다. 경북 출신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4일 성명을 내고 “경제성과 안전성이 실증되지 않은 SMR을 군위에 지역사회 합의 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5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