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뼈대 공사부터 휘청, 조기개항 물건너가나”...가덕신공항 유찰에 술렁

본문

17186124916248.jpg

가덕도신공항 부지. 사진 부산시

국토교통부가 낸 10조원대 가덕도신공항 부지 공사 입찰이 유찰되자 부산ㆍ경남 지역 사회가 뒤숭숭하다. 공항 뼈대를 세우는 단계부터 지지부진하면 “2029년 조기개항도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다. 재입찰이 진행되고 있지만, 컨소시엄 구성 요건 완화, 설계비 조정 등 업계 요구는 반영되지 않아 또다시 유찰될 거란 전망도 나온다.

10조5300억 공사 외면, 업계도 속 탄다  

17일 국토부와 부산시 등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 부지 건설 공사 입찰은 건설사가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은 채 지난 5일 마감됐다. 이 공사는 부지 조성을 포함해 활주로와 계류장, 방파제, 안전시설 등 공항 뼈대를 세우는 사업이다.

10조53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공사지만 업계에선 입찰 이전부터 상위 10대 건설사 2곳까지만 허용하는 빡빡한 컨소시엄 구성 요건과 너무 낮게 책정된 설계비(817억원) 등을 놓고 볼멘소리가 나왔다. 20~30m 깊이 바다를 메우면서 진행해야 해 국내에선 유례가 없는 어려운 공사인데 공사 기간이 지나치게 촉박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달청은 입찰안내서에 기본ㆍ실시설계를 합해 10개월 이내에 마친 후 공사는 60개월 안에 끝내야 한다고 안내했다.

17186124917583.jpg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사진 부산시

국토부는 ‘응찰 0’으로 마감된 이 공사를 재입찰했다. 기한은 오는 24일까지이지만 컨소시엄과 설계비 등 요건은 1차 때와 같아 또다시 유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토부는 지난 14일 건설회관에서 사업 규모와 추진 일정 등을 안내하는 설명회를 열었지만,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업계 관계자들은 먼저 자리를 뜨는 등 분위기가 냉담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공항 부지 주민 이주비와 어업 피해 보상비 지급 절차도 순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에 따르면 이주 대상 주민 350가구 중 상당수가 인근 에코델타시티 이주를 원하지만, 공항과 에코델타시티는 사업 주체가 달라 여의치 않다. 어업 피해는 아직 구역이나 보상 대상자가 확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설명회 등을 통해 주민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주와 어업 피해 보상 절차를 위한 용역도 진행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조기개항 밀리나” 지역사회 촉각

부산과 경남에서는 가덕도신공항 건립에 따른 도로망 확충과 물류도시 기반 확보 등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공사 입찰과 보상 절차 등에 어려움이 예상되자 2029년으로 맞춰 추진되는 개항이 늦춰질까 봐 촉각을 곤두세운다. 애초 2035년 계획된 개항을 2030년 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이전으로 앞당겨야 한다는 논리에 따라 조기개항이 추진됐다. 이에 일각에서는 “월드엑스포 유치가 무산됐는데 조기개항이 꼭 필요하냐”는 의문을 제기한다. 또 시민단체인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이 신공항 전면 재검토를 주장하며 지난 3월 국토부를 상대로 건설사업 기본계획 취소 소송을 냈다.

17186124918969.jpg

지난달 1일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신도시에 위치한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건물에 부착된 현판. 이날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은 출범식을 열고 본격 출발을 알렸다. 사진 연합뉴스

부산시는 오는 24일까지 진행하는 신공항 부지 건설 공사 재입찰도 유찰되면 국토부에 요건 완화 등 건의를 검토하고 있다. 이휘영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ㆍ물류시스템학과 교수는 “1차 때와 똑같은 조건으로 진행되는 재입찰도 업계 외면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컨소시엄 구성 제약은 물론 일정 전반을 ‘2029년 개항’에 짜 맞추는 게 사업 부담을 키우고 있다. 공사를 맡을 건설ㆍ설계사는 물론 개항 이후 공항을 이용하게 될 물류ㆍ항공사와 함께 개항 시기와 사업 진행 방식 등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5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