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최전방 영관·장성급에 '소총' 지급 추진…"실…

본문

17186195597572.jpg

비무장지대(DMZ) 수색대가 전투사격 훈련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앞으로 비무장지대(DMZ)를 경계하는 최전방 부대의 영관급 이상 장교들에게도 소총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국방부가 17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대대장급인 소령 등을 포함해 영관급 이상 지휘관들에겐 권총만 지급됐다. 이들이 DMZ 수색과 같은 임무 수행을 위해 병사의 소총을 빌려야 했던 관행을 개선하고 실전성은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전투형 강군 육성을 위해 장성을 포함한 영관급 이상 지휘관들에게 이중 화기를 지급하기로 했다"면서 "장성용 38구경 권총(리볼버)도 교체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지급 대상과 보급 총기, 보급 우선순위 등은 각 군의 검토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17186195598901.jpg

2018년 11월 22일 소셜미디어(SNS)에 아프가니스탄 주둔 최고 사령관인 스콧 밀러 미 육군 대장 M4 소총을 소지하고 이동하는 장면이 올라왔다. 사진 X(트위터) 캡처

현재 소령 등 영관급 이상 장교들에겐 K5 권총이 지급됐고, 장성들은 38구경 권총이 지급됐다. 특히 38구경 리볼버는 ‘장군의 상징’으로 여겨 졌지만, 현장에선 "상징적 의미만 있을 뿐 실제로 교전이 벌어지는 상황에선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군은 최근 안보 상황 등을 반영해 장교들의 화기도 실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련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에 따르면 장교들도 평시에는 권총을, 작전 수행 중에는 본인에게 지급된 K1 소총 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미국·이스라엘과 같은 나라에선 장군들이 전장에서 직접 카빈 소총 등을 들고 다니는 모습이 종종 포착됐다. 2018년 아프가니스탄 가즈니 지역에서 아프간 주둔 연합군 총사령관인 스콧 밀러 미 육군 대장이 M4 카빈 소총을 들고 이동하는 장면이 찍혔다. "아프간의 현장 상황이 그 정도로 위험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자, 밀러 대장 측은 "헬기 착륙 후 마땅히 장군의 소총을 둘 데가 없어 그가 직접 갖고 이동했을 뿐"이라고 설명하는 일도 있었다. 이스라엘 역시 과거 합참의장이 전시 지역을 시찰하면서 직접 소총을 들고 다니는 모습이 공개되기도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45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