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 푸틴 방북에 속내 복잡...러시아 첨단기술 北 이전 원치 않아”

본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18~19일 북한 국빈 방문을 바라보는 중국의 속내가 복잡할 것이란 미국 전직 관리들의 분석이 나왔다. 18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이들은 "중국은 러시아가 북한에 미사일 관련 첨단 기술을 전달하는 상황은 바라지 않으면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주시하고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게리 세이모어 전 미 백악관 대량살상무기(WMD) 조정관은 "중국은 러시아와 북한이 석유를 대가로 탄약을 제공하는 관계에 그친다면, (양국의 밀착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으로선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보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패하는 것을 피하고,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를 보내야 한다는 부담감을 덜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7186917533458.jpg

지난해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만났을 당시의 모습. AFP=연합뉴스

하지만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러시아가 북한에 잠수함이나 위성, 탄도미사일 등 민감한 군사 기술을 제공할 경우 중국을 불편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이 북한에 대한 자국의 영향력이 위협받는 걸 우려한다는 설명이다.

데니스 와일더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도 "중국은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관계가 새롭게 발전하는 것을 바라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은 동북아 정세를 통제하고, 항상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길 원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푸틴 대통령이 방북하는 날 열리는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주목했다. 한국과 중국 양국의 외교부와 국방부 고위 당국자들이 18일 서울에서 회동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리비어 전 수석부차관보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시점에 맞춰 한·중 외교·안보 대화가 열리는 건 우연이 아니다"며 "이는 중국이 메시지를 러시아와 북한에 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이 한국과의 외교적 소통으로 북한과 러시아의 '지나친' 밀착에 일종의 경고성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는 해석이다. 이번 회동을 두고 양국 외교가에선 한·중이 양국관계는 물론,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포함한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17186917534983.jpg

푸틴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해 9월 만났을 때의 모습. AP=연합뉴스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기술을 제공할지 여부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와일더 전 선임보좌관은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매우 발전된 기술을 줄 수도 있다"며 "김 위원장에게 어떤 조언을 할지 모르는 푸틴 대통령은 중국에 '새롭고 위험한 요인'"이라고 했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차석대표도 "러시아의 첨단 기술 지원으로 대담해진 김정은이 한국을 향해 매우 도발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다"며 "이는 긴장을 빠르게 고조시킬 수 있다"며 "한반도의 잠재적 갈등과 그것이 동북아 정세의 불안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모두 중국에 매우 우려되는 문제"라고 했다.

반면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러시아엔 북한보다 중국이 더 중요한 만큼 러시아가 중국을 당황하게 하거나 화나게 할 수 있는 제공을 북한에 하지 않도록 조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푸틴 대통령이 이번에 방북을 한다고 해도 기존의 중국과 러시아, 북한 간의 관계 혹은 중국과 북한 간의 관계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17186917536394.jpg

김정은 위원장(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지난 2019년 6월 21일 평양 금수산영빈관에서 산책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초청으로 18~19일 북한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이후 24년 만이며,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은 지난해 9월에 이어 약 9개월 만에 성사됐다. 중국 외교부는 앞서 지난 13일 정례브리핑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 관측 질문에 "원칙적으로 중국은 러시아가 관련 국가와 전통적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것을 환영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52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