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의사 파업에 리베이트 수사까지 겹쳤다…제약사 '전전긍긍'

본문

17187048160477.jpg

18일 오전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 병원 한 진료 센터에 불이 꺼져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반대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8일 총파업(전면 휴진)에 나서고 서울대병원 등 ‘빅5’ 대형병원이 잇따라 무기한 집단 휴진을 예고하자 제약사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술, 입원 등이 줄며 원내 의약품 처방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어서다. 이에 더해 경찰이 고려제약 불법 리베이트 의혹 수사망을 확대할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제약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처방 감소에 매출 직격탄

실제로 지난 2월부터 전공의 사직 등으로 의료 공백이 생기자, 병·의원의 원내 의약품 처방이 눈에 띄게 줄었다. 의약품 시장조사업체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본 의약품 사용금액(약 7450억원)은 직전 분기보다 20%(약 1490억원) 감소했다. 마취제, 진통제, 수액, 항생제 등 수술 관련 의약품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영향은 제약사의 2분기 실적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보령, JW중외제약, HK이노엔, 유한양행 등 전문의약품 제조사 중 상급종합병원 매출이 높은 곳들이 먼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의료 파업이 본격화한 것이 3월부터이기 때문에 1분기 실적에는 제한적으로 반영됐다”며 “2분기 실적에는 영향을 받은 제약사들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17187048161868.jpg

중외제약 충남 당진공장에서 기초수액을 생산하고 있다. 중앙포토

신약 개발사는 임상 중단 우려

제약사의 연구·개발(R&D) 활동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의사들이 참여해야 할 임상시험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해서다. 병원 내에서 임상 시험 적법성을 심사하는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회의가 지연돼 R&D 일정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환자에게 약을 투여하고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최근 임상 절차가 지연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약사들의 사례를 접하고 있다”며 “최근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집중하는 중증 난치성 의약품 개발이 차질을 빚을 경우 그 피해가 환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리베이트 수사 확대 가능성도

1718704816327.jpg

지난 4월 29일 '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경찰이 압수수색을 진행중인 서울 강남구 고려제약 본사 모습. 뉴스1

정부와 의사 간 대립이 제약사 리베이트 수사까지 영향을 미치며 영업망에 힘을 실어온 제약사들은 파장 확산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경찰은 현재 고려제약의 불법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고려제약 직원 8명과 의사 14명을 입건하고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 중이다. 조지호 서울경찰청장은 전날(17일) 정례간담회에서 “(제약사 불법 리베이트 의혹을) 한 회사의 문제로만 보기에는 적절치 않다. 구조적 문제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해 타 제약사로 수사망을 넓힐 가능성을 예고했다.

앞서 정부는 2010년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하고 불법 지원을 받은 의사와 이를 제공한 제약사를 함께 처벌하는 등 관련 규제를 강화했다. 하지만 법망을 피해 불법 리베이트를 주고 받는 사례가 꾸준히 적발되고 있다. 지난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원이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리베이트 혐의로 의료인(의사·한의사·약사 등)에게 내려진 행정처분 건수는 총 224건이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경찰이 고려제약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된 의사 1000명 이상을 조사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다른 제약사에도 불똥이 튈 가능성이 높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04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