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정은·푸틴, 무기·무역·금융까지 ‘나쁜 공급망’ 손잡는다

본문

24년 만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을 두고 국제사회의 최대 관심사는 북·러 간 군사협력이다.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탄약 등 재래식 무기 제공을 강화하는 대신 러시아가 북한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핵추진잠수함·인공위성 등 첨단 군사기술을 지원할지 여부다. 이는 동북아는 물론 세계 안보 질서에도 상당한 파장을 불러일으킬 사안이기 때문이다. 일단 18일 푸틴 대통령은 이날자 노동신문 기고문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유리 유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의 지난 17일(현지시간) 설명대로 이 문제는 19일 예정된 두 정상의 일대일 비공식 회담에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17187239844986.jpg

신재민 기자

다만 현재까지 이번 회담에 임하는 두 정상의 방점은 서로 다른 곳에 찍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쟁 3년째를 맞는 푸틴 대통령의 당면 과제는 북한의 재래식 무기 지원 강화를 끌어내는 것이다. 18일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영국·우크라이나 국방부 합동 콘퍼런스에서 북한은 122㎜ 방사포탄과 152㎜ 자주포탄 180만 발을 러시아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는 러시아가 사용한 전체 포탄 중 이란의 지원을 받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북한이 거의 40%를 차지하는 규모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뜻밖의 대러시아 ‘레버리지’를 확보하게 된 북한은 그 대가로 첨단 군사기술 협력과 사실상의 핵보유국 지위 승인에 관심을 두고 있다. 실제 북한은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렸던 지난달 28일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했다가 실패했는데 당시 사용했던 신형 로켓 1단 추진체를 러시아에서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또 김 위원장이 그간 정찰위성과 핵추진잠수함 확보에 강한 의욕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이 역시 북한의 ‘위시리스트’에 포함돼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한국 등 국제사회가 첨단 군사기술 제공을 ‘레드라인’으로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는 점과 러시아가 전통적으로 첨단 기술 이전에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이런 위험한 거래에 손을 댈지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해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지난 17일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에 대해 북·러 관계 심화를 우려한다”면서 “북한이 향후 러시아로부터 받을 지원들에 대해 매우, 매우, 긴밀히 주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실상의 핵보유국 승인 역시 북한의 ‘위시리스트’에 담겨 있다. 노동신문은 이날자 사설에서 “(러시아는) 미국과 추종세력들의 발광적인 전쟁 도발 책동에 가공할 핵 억제력으로 맞서는 인민의 투쟁에 확고한 지지를 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기고문에서 “러시아는 어제도 내일도 침략적인 대결과 투쟁에서 조선 인민을 지지한다”고만 했는데, 북한은 이에 더해 러시아가 ‘핵 억제력’을 지지한다고 부각한 것이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올해 3월 리아노보스티통신 인터뷰에서 “북한은 자체 핵우산을 갖고 있다”고 언급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북한의 핵 개발을 용인하면 주변국의 도미노 핵 개발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러시아도 원하지 않는 결과”라면서 “현재까지는 희망 사항에 가깝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으로선 ‘경제협력 강화’ 카드로 북한을 달래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 키릴 코트코프 극동국가연구소장은 17일 러시아 차르드라드와의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은 경제관계 강화를 모색할 것”이라며 “식량 수출과 대북제재로 금지된 북한 노동력 이용에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05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