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안덕근 “원전 덤핑 논란 어불성설…2기 추가되면 한국 우선권”

본문

17212800804838.jpg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체코 신규원전 건설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은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연합뉴스

18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국이 '24조원+α' 규모의 체코 신규 원전사업을 따낸 것과 관련해 “원전의 본산지인 유럽에 원전을 수출하는 교두보가 마련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체코 원전 수주를 위해 민관이 지난 2년간 치열한 물밑 협상을 했다고 밝힌 안 장관은 저가 전략을 내세운 ‘덤핑’이 아니냐는 의혹에는 “어불성설”이라고 선을 그었다.

안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체코 원전 브리핑에서 수주를 따낸 팀코리아 컨소시엄(한수원·대우건설·두산에너빌리티)의 최대 강점으로 ▶기술력 ▶국제적 신뢰 ▶산업 경쟁력을 꼽았다. 그는 “2022년 3월 체코 원전 입찰이 개시될 당시만 해도 세계 유수 사업자들만의 각축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팀코리아는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며 수차례 체코를 오가며 물밑 협상을 이어갔다고 밝혔다.

협상 과정에서 특히 난관이었던 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였다고 덧붙였다. 다른 사업과 달리 원전은 착공부터 가공까지 약 35년이란 긴 세월이 걸리는 사업인 만큼 체코 정부는 한국 정부의 정책 기조가 또 한 번 뒤집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컸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안정적인 원전정책으로의 전환과 대통령이 주도한 정상 차원의 세일즈 외교가 발주국의 신뢰를 끌어낸 핵심 원동력이었다”고 말했다.

덤핑 의혹에 “한국의 기술력 기반한 것”

17212800806456.jpg

박경민 기자

일각에서 제기된 덤핑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맞지 않은 상황”이라며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안 장관은 “시장 질서를 교란하기 위해서 저가 판매하는 거를 덤핑이라고 하는데 한수원의 가격 경쟁력은 우리나라의 기술력과 사업 관리 능력에 기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한국의 원전 건설 단가는 ㎾당 3571달러로 주요 경쟁국인 중국(4174달러)·미국(5833달러)·러시아(6250달러)·프랑스(7931달러)와 비교해 많게는 절반 이상 낮다.

한국정부의 금융지원이 이뤄질 경우 경제성이 낮은 것 아니냐는 우려도 불식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금융지원과 관련해 “1호기의 경우 한국 정부가 아니라 전적으로 체코 정부의 재원으로 하는 것으로 돼 있다”며 “2호기도 같은 방식으로 얘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체코 정부가 절차적 공정성과 타당성에 굉장히 민감했다”며 “이면합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또 한수원 관계자는 “건설 과정에서 물가·원자재가 올라 비용 부담이 추가될 수 있는 부분은 (추후) 계약에 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테믈린 지역 추가 2기 건설될 경우 한수원이 우선권 

17212800808234.jpg

정근영 디자이너

이번에 확정된 두코바니 외에 테믈린 지역에 원전 2기가 추가로 지어진다면 한수원이 우선협상대상자인 점도 강조했다. 체코 정부는 테믈린 지역에 예정됐던 원전 2기는 향후 5년 내 건설 여부를 결정짓겠다고 밝힌 바 있다. 2기가 추가될 경우 약 24조원(1기당 예상 사업비 12조원)이 더해져 총 수주 규모가 48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

다만 8개월가량 남은 최종 계약에 앞서 미국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문제는 풀어야 할 숙제다. 안 장관은 “현재 마지막 조율 단계다. 한국과 미국 간 정부 차원에서 순조롭게 원자력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아마 조만간 공식적으로 알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웨스팅하우스는 한수원의 기술이 자사 기술을 활용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미국 정부 허가 없이는 수출하지 못하게 해달라'는 내용의 소송을 제기했다. 한수원은 “원전 운영 초기의 경우 웨스팅하우스의 도움을 받았지만, 현재 수출을 추진하는 한국형 원전 APR1400은 이후 독자 개발한 모델”이라며 수출 통제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편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한수원은 체코 발주사와 연말까지 세부 계약 협상을 진행하고, 내년 3월쯤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한수원은 2029년 건설에 착수해 2036년부터 상업 가동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8,159 건 - 1 페이지